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주거지와 소득에 따른 베이커리 제품 구매 속성과 형태에 대해서 조사하 였다. 일반적인 사항에서 전체 1,235명 중의 여성이 59.6%, 남성이 40.4%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더 많았으며, 주거지는 서울 대도시 지역이 53.0%, 중소도시 지역이 47.0%였다. 베이커리 제품의 선호도에 서 ‘일반 식빵과 단과자 빵류’가 56.5%로 가장 많았고, ‘샌드위치류’ 26.0%, ‘천연 발효빵과 건강빵’ 24.5%, ‘케익류’ 20.6%, ‘빵과 함께 커피, 음료’ 17.2% 순이었다. 소득에 있어서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천연 발효빵과 건강빵’을 선호하였으며(p<0.001), 소득이 낮아질수록 ‘조각 케익’(p<0.001)과 ‘샌드위치 류’(p<0.001)를 선호하였다. 베이커리 제품의 만족도에서는 ‘품질과 맛’(M=3.76), ‘신선도’(M=3.64), ‘양 질의 재료’(M=3.40), ‘기능성 제품판매’(M=3.31), ‘영양성분’(M=3.24)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지에 있 어서 서울 대도시 사람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사람 모두 ‘품질과 맛’(p<0.05), ‘신선도’(p<0.05)를 중요 하게 생각하였다.
        4,6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소득에 따른 베이커리 제품 구매 속성과 형태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일반적인 사항에서 전체 1,235명 중에서 여성이 59.6%, 남성이 40.4%로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많았다. 베이커리 제품 구매 속성에서 ‘건강관심형’이 40.0%로 가장 많았고, 거주지에서는 대도시 거주자가 ‘맛 관심형'이 35.8%인 반면에 중소도시 거주자는 ‘건강 관심형'(p<0.001)의 45.4%로(p<0.001), 소득이 높을 수록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p<0.001). 베이커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맛’ 67.1%, ‘영양’ 13.7%, ‘가격’ 7.8% 순으로 거주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베이커리 이용형태에서는 프랜차이즈 베이커리가 71.1%, 윈도우 베이커리 14.6%, 인스토어 베이커리 8.4%였다.
        4,500원
        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 지역 소비자들의 베이커리 제품 구매자들의 구매 속성과 형태를 성별과 세대에 따라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일반적 사항에서 전체 654명 중에서 남성이 46.6%, 여성이 53.4%로 여성이 남성보다 좀 더 많았다. 베이커리 제품의 구매속성에서 식생활 유형은 ‘미각 관심형’이 35.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건강 관심형’이 35.2%, ‘편리 관심형’이 16.8%순이었다. 베이커리 제품의 구매 기준은 맛이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 10.2%, ‘가격’ 6.6%, ‘위생’ 5.5% 순이었으며, 성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베이커리 이용 형태에서 프랜차이즈 베이커리가 71.1%, 윈도우 베이커리 13.3%, 인스토어 베이커리 8.4%순으로 이용하였으며. 성별에서 유의미하였다(p<0.001).
        4,600원
        4.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양성과 기능성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성이 높은 식품을 개발하고, 베이커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단호박을 동결 건조하여 버터스펀지 케이크에 단호박 분말 첨가량을 0, 3, 6, 9, 12%로 달리하여, 반죽의 farinograph, amylograph, 비중의 물리적 특성과 품질 특성인 색도, 부피, 무게, 비용적 및 굽기 손실율, 텍스쳐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죽의 farinogram 특성은 단호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수율은 약간 증가하였고,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간은 조금 더 길게 나타났으며, 연화도는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다가 12%에서 다소 감소하였다. Amylogram 특성에서 단호박 분말 첨가시 호화개시온도는 대조구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으며, 최고점도는 낮게 나타났다. 비중은 단호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색도에서 crust의 L 값(p<0.01), a 값(p<0.05), b 값(p<0.001)은 대조구보다 낮아졌으며, crumb의 L 값, a 값(p<0.05)은 대조구보다 낮아졌으나 b 값(p<0.001)은 높아졌다. 부피와 비용적, 굽기 손실율은 대조구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피 지수는 대조구보다 단호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p<0.01), 대칭성 지수는 대조구가 가장 좋았으며 단호박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텍스쳐 특성에서는 경도는 단호박 분말을 첨가했을 때가 다소 높게 나타났고(p<0.05), 깨짐성은 단호박 분말을 첨가할수록 낮아졌으며 9, 12% 첨가구에서 차이가 있었다(p<0.01). 이와 같은 결과에서 단호박 분말 첨가량이 9-12%일 때 가장 좋은 최적 조건을 나타내어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단호박 버터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상품성을 증대시켜 베이커리 제품의 다양화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증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