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방큰무당벌레(신칭)를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국내 Harmornia속의 3종과는 둥글고 볼록한 체형, 앞가슴등판의 갈라진 점 모양, 각 딱지날개에 7개의 검은점이 1-3-2-1 배열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rmonia속의 종 검색표, 진단형질과 DNA바코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4,000원
        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애완곤충산업에 이용될 수 있는 곤충 종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전문가 의견조사인 델파이 (Delphi) 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대분류와 9개의 중분류로 구성된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계층분석과정(AHP)을 활용하여 애완곤충 종을 선발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였고, 적용 시험을 통해 점수의 체계화를 구축하였다.
        4,000원
        1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Korea, species of the genus Ptecticus Loew, 1855 (Family Stratiomyidae) have been known as three species, P. aurifer (Walker, 1854), P. matsumurae Lindner, 1936 and P. japonicus (Thunberg, 1789) (= P. tenebrifer (Walker, 1849)). Additionally, an unrecorded species, P. sinchangensis Ôuchi, 1938, is founded in South Korea. We therefore report the spec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ith morphological diagnoses and key for the identification of species of the genus. In total, the members of the genus Ptecticus are officially recognized as four species in Korea.
        1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한산 큰자색호랑꽃무지는 그 동안 일본에 분포하는 Osmoderma opicum으로 동정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는 그 희귀성에 의해 멸종위기종으 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남한 개체군에 대한 면밀한 종의 실체에 대한 구명은 없었다. 이에 대해, 남한산 큰자색호랑꽃무지와 유라시안 근연종에 대 해 형태 및 COI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남한산 개체군은 형태적으로 극동러시아에 분포하는 O. caeleste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남한산 큰자색호랑꽃무지는 O. caeleste임을 제안한다.
        4,200원
        1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Scutellathous is only recognized a species. S. porrecticollis (Lewis, 1894) in Korea. The previous record of Athous (=Medakathous) jactatus (Lewis, 1984) is revealed as the misientification of S. porrecticollis. We also describe and illustrate Subscutellathous koreanicus gen. and sp. nov. from Korea. This new genus si compared to the most closed genus Scutellathous by the basis of diagnostic characters in generic level.
        2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reviewing Korean species of Denticollinae and reconstructing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subfamilies in Elateridae, three kinds of studies were conducted: 1) taxonomic review based on morphology; 2) DNA barcode for Denticollinae; 3)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Elateridae using 12 genetic markers. In taxonomic study, a total of 54 species were reviewed including 13 new species and then unrecorded species. In DNA barcoding, six cryptic and/or pseudocryptic species were confirmed by their sympatric or allopatric distribution. We propose a conservative threshold of 3.6% for convenient molecular operational taxonomic unit identification in Denticollinae. From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COI sequence is useful for reassessing species diversity for polymorphic and polytypic species occurring in sympatric and allopatric distributions. In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the phylogenetic inference constructed robust phylogeny with almost very strongly supported nodal values(>90%) and showed that Hypnoidinae, Oxynopterinae and Denticollinae are monophyletic; Elaterinae, Hemiopinae and Melanotinae are a monophyletic group; and two tribes in Denticollinae are paraphyletic, it is needed to reclassify their systematic account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