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의 항균효능과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 그것의 화장 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의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균주로 disc diffusion 방법을 통해 생육저해환(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r. 1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S. aureus와 candida. A 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항산화 평가를 위해 황련 fraction의 농도 (50, 125, 250) μg/mL 에 따라 처리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Fr. 1, 2, 3, 4의 250 μ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각 11.4%, 30.3%, 42.0%, 53.1% 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각 28.6%, 96.2%, 98.6%, 97.1%로 나타났다. Fr. 3, 4는 동일농도의 대조군 BHT 활성의 86.5%보다 높은 활성산소 저해능을 보였다. 황련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WST assay 결과에서 Fr. 4를 제외하고는 Fr. 1, 2, 3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은 항균능과 항산화 능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고 볼 수 있다.
사람과 어류에게 감염증을 유발하는 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 및 Vibrio sp. 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4종의 식용 해조류 중에서 감태 MeOH 추출물이 본 연구에서 사용 된 6종의 모든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감태의 MeOH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 추출물들 중에서, EtOAc 분획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6종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하여 128 μg/mL에서 256 μg/mL의 MIC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HPLC 분석에 의해 감태 EtOAc 분획 추출물에 phlorotannin 화합물인 dieckol이 다량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결론적으로, 감태 추출물의 phlorotannin 화합물이 여러 유해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서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tus of consump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corded questionnaire develop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o have taken dietary fiber supplements in the past are as follows: distribution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howed that the highest-ranked group(the group that reported the highest consumption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was professionals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degree. In addition, the highest-ranked group were the most healthy, nonsmokers and reported drinking habits of ‘1~2 times/week’. Regarding the health status of those surveyed, digestive disease and constipation were the most common complaints. The majority responded with ‘health concerns’ to the question that asked the reason for their purchase of the dietary fiber supplements. Three major places respondents could find dietary fiber supplements were ‘through the internet’, ‘the market’, ‘the pharmacy’ in descending order. The compositions of dietary fiber products varied. ‘konjac’, ‘cellulose’, ‘psyllium husks’ were the most popular components consumed by the subjects. The average duration of product consumption was less than one month.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satisfaction was ranked from 1 to 5), ‘taste’ and ‘type’ scored the highest in satisfaction levels while ‘price’ ranked the lowest. When subjects were asked about self-awareness regarding the physiological efficacy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the responses were positive in ‘bowel movement’ and ‘weight los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in order to assist consumers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