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3.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gene expression in miniature pig nuclear transfer (mNT) embryos produced under different osmolarity culture conditions. Control group of mNT embryos was cultured in PZM-3 for 6 days. Treatment group of mNT embryos was cultured in modified PZM-3 with NaCl (mPZM-3, 320 mOsmol) for 2 days, and then cultured in PZM-3 (270 mOsmol) for 4 days. Blastocyst formation rate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and the apoptosis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reatment group. Bax- and caspase-3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than the treatment group. Also, the majority of imprinting genes were expressed aberrantly in in vitro produced mNT blastocysts compared to in vivo derived blastocyst H19 and Xist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than the treatment group or in vivo. IGF2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than the treatment group or in vivo. IGF2r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Methylation profiles of individual DNA strands in H19 upstream T-DMR sequences showed a similar methylation status between treatment group and in viv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ification of osmolarity in culture medium at early culture stage could provide more beneficial culture environments for mNT embryos.
        4,000원
        4.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 is affected by culture condition. One possible factor is osmolarity of culture medium. This study examined whether high osmolarity of culture medium at the early culture stage improves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porcine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nuclear transfer (NT) embryos. NT and IVF embryo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e basic medium was PZM-3 (250~270 mOsmol,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of embryos was cultured in PZM-3 for whole culture period. Other two groups of embryos were cultured in a modified PZM-3 with 0.05 M sorbitol or 0.05 M sucrose (300~320 mOsmol, sorbitol or sucrose group) for the first 2 days, and then cultured in PZM-3 for further culture. NT embryos cultured in sucros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with a decreased apoptosis rate compared to the sorbitol (p<0.05). For IVF, sucros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with a decreased apoptosis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This study represents that the high osmolarity in the early embryo culture stage can enhance the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NT and IVF embryos to the blastocyst stage with reduced apoptosis of cells.
        4,000원
        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학의 발달과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으로 암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암은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의 하나 로서 입원과 퇴원의 반복과 오랜 기간의 치료는 암 환자들은 심리적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신, 2014). 특히 암 환자들은 희망 보다는 죽게 될 것이라는 불안과 우울 등의 기분이 복잡한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노출되어 그들의 건강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 므로 심리적 안정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에서 디스트레스라는 말로 그들의 정신적 고통을 정의 한다. 한편 원예치료가 암 환자들의 우울과 불안들을 감소 시켰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김, 2008) 자연의 식물을 이용한 다양한 원예활동이 긍정적인 사고로 변화 시킨다고 한다. 따라서 원예치료가 요양원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고자 수행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 C군에 위치한 요양병원에 입원한 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 그램은 2016년 12월7일부터 2월 8일까지 매주 수요일 주1희 60분 동안 총 10회를 실시하였으며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프로 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심리적 디스트레스 척도로서 기분상태 측정은 McNair 등(2003)이 개발하여 Ueun 등이 한글 화한 K-POMS-B, 불안과 우울은 오세만 등(1999)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 하였으며 결과 분석 데이터는 SPSS PC program(ver. 18.0)으로 비모수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서 기분상태점수는 총 점수가 원예치료 실 시 전 50.30에서 원예치료 실시 후25.15점으로 25.15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35) 이 점수는 점수가 낮 을수록 기분상태가 좋음을 의미한다. 하위영역으로 긴장(p=.005), 우울(p=.015), 분노(p=.026), 활기(p=.045), 피로(p=.003), 그리고 혼란 (p=.027)의 모든 영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암 환자의 불안점수의 변화는 원예치료 실시 전 11.65점에서 원예치 료 실시 후 7.38점으로 4.27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38). 그리고 우울점수의 변화에서도 원예치료 실시 전 10.42점에서 원예치료 실시 후 6.35점으로 4.07점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21). 이러한 연구결과는 말기 암 환자를 위한 꽃 색 채조화를 적용하여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킨 결과(김, 2008)와 비슷한 맥락이며 요양병원에 입원한 암 환자에게 희망증진요법을 적용한 원 예치료의 효과(신, 2014)와 유사한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원예치료는 신체적·심리적인 고통을 겪고 있는 요양병원의 암 환자들의 디 스트레스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하고 전문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요양병원 암 환자들에게 제공 한다면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되어 치료 기간이 단축 될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