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PPH(l, 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was used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ies in 78 pigmented rice germplasms. Out of 79 varieties taken, 28 varieties showed >70%, 27 varieties showed 61-70% whereas the rest of the varieties showed less than 60% antioxidant activity. In relative total anthocyanin content, Tingga loko( 1.972mg%), Ane bonak(l.965mg%), Pulut mbiring(1.926mg%), and so on were present at concentration given in the descending order, which lies within the range of 0.028 -1.972mg%.
        4,000원
        2.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PPH(l, 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was used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ies in 249 Korean rice landraces. Especially, red rice varieties were 13 accessions, showed very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more than 95%. Brown rice varieties were 236 accessions, among them G307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of 68%. Most of brown rice varieties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Chucheongbyeo as check variety. 101 accessions were distributed range of 21 - 30% and 71 accessions were distributed range of 31 -40%.
        4,000원
        3.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paper was studied about current status and utility value of the anthocyanin pigment, according to rise of interest. This was based on past paper and studied current status about anthocyanin pigment of individually crop. And we studied and drew up question form in order to judge utility value of functional food. Analysis showed that it was high recognition of anthocyanin and functional food. Also, the older age rose , the higher distribution of recognition. This recognition was the most by broadcasting. And most people thought that the major effect of anthocyanin is anti oxidation , anti cancer. Also, the older ate the more functional food for the health. We should perform the functional food development, taking advantage of antioxidation, anticancer of anthocyanin. Therefore, the market of the functional food taking advantage of Anthocyanin pigment will grow up.
        5,700원
        4.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assay were used to analyze anticancer activities from herbal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hibit the human lung cancer(A549) cell line in vitro. The 1C50 value of cytotoxicity showed range of 127.83-2018 .1 9μg/m~. Especially Coriander( 127.83μg/mR} and Catnip(140.68μg/me.) showed more stronger activity than other plants, respectively.
        4,000원
        13.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비중선으로 종자밀도를 5등급으로 세분한 뒤 각 등급별 유묘의 유관속 발달 및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디카형인 IR58과 자포니카형인 운봉7호를 공시하여 수해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밀도가 1.00이하에서 1.20이상으로 높아질수록 유묘의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와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IR58은 운봉7호보다 유관속수와 크기가 양호하게 발달하였다. 2. 유묘의 생육특성인 초장, 엽수, 근수 및 근장은 종자의 밀도가 1.20이상까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3. 엽신과 엽초에 발달된 유관속수는 건물중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제4, 5엽신의 대유관속수는 엽신폭과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4. 종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유묘의 유관속 발육을 좋게 하며 양수분의 원활한 이동으로 인하여 생육이 양호하게 건묘육성에 바람직하였다.
        14.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리핀은 화산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44개 화산중 13개가 활화산으로 되어있는 상태이다. 전기발전을 위해 지하에 있는 고온의 온천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후 시냇가에 방류한다. 이 온천수에는 독성이 강한 물질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관개수로 이용하였을 경우 농작물에 지대한 악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실험에서는 온천수를 이용하여 벼품종의 발아, 유묘생장유관속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작물 재배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해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천수내에는 황, 칼리, 나트륨, 및 붕소 함량이 관개수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2. 최종발아율, 발아소요일수 및 발아속도는 온천수의 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필리핀재래종인 Binato품종은 IR58 및 운봉7호보다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초장, 근장, 엽수 및 총건물중은 온천수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Binato와 IR58품종은 처리 후 15일, 25% 온천수 농도에서 운봉 7호보다 건물중이 다소 높았다. 4. 유묘기 엽신의 유관속발달은 무처리에 비하여 온천수는 50%까지 농도를 높일수록 유관속수 및 크기 등 발달을 저하시켰다. 5. 온천수 처리에 따른 엽의 손상도는 농도가 높아질수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Bitano와 IR58호는 운봉 7호보다 온천수에 대한 손상도가 작아서 다소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6.
        199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질소시용 수준이 수도의 이삭줄기, 엽신 및 엽초의 소유관속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여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89∼'90년에 국제벼연구소 (IRRI)에서 인도형인 IR 58과 일본형인 운봉 7을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1. 분얼경의 수수절간에 발달된 소유관속수는 질소시용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주간의 경우 질소 무시용구에 비하여 질소시용구에서 IR 58은 39% 및 운봉 7은 24% 증가하였다. 2. 주간 및 일찍 출현된 1, 2차 분얼경의 발육 순서로 소유관속수가 많이 발육되어 있었으며, 분얼경의 출현이 늦을수록 유관속의 발육이 저하 되었다. 3. 주간의 수수절간, 엽신 및 엽초의 소유관속발육은 질소 무비구 및 소비구에 비하여 질소 증시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수수절간의 소유관속수는 이삭당 영화수 및 입중과 밀접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줄기에 발달된 소유관속이 영화수의 분화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된 유관속을 통해 양수분 전류가 원할히 이루어져서 결국 이삭당 입중도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