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d on Issey Miyake’s 14 womenswear collections from spring 2018 to fall 2024. Reviews and reports on these collections and the designer were collected from the American Vogue and the Women’s Wear Daily websites using the keyword “Issey Miyake.” Drawing upon the dress criticism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of Miyake’s fashion designs identifying styles, descriptive features, and aesthetic values through the collection photographs. Implicit evaluations were derived through external interpretations and sociocultural analysis based on reviews and reports of Miyake’s collections and desig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iyake’s fashion design is avant-garde in style. Descriptively, Miyake introduced variations in silhouett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ity of pleats, exploring a new sculptural order. The aesthetic values of Miyake’s works extend beyond the fashion show realm, embodying natural beauty wearable in daily life, artistic beauty through the three-dimensionality of pleats, and a pursuit of new aesthetic values challenging existing systems and traditional norms. Externally interpreted, Issey Miyake is recognized for his diverse, practical, and innovative designs, and as the first Japanese designer to present shows in Paris. Sociocultural interpretations characterize of Issey Miyake’s works as a blend of tradition and modernity, an expansion of form through pleats and three-dimensional sculptural qualities, the result of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ossessing timeless qualities transcending eras, and a pursuit of practicality and artistic excellence.
        5,700원
        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성장욕구가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 다. 이와 더불어 부정적 정서조절과 내적 동기가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의 제조기업에 근무하는 244명의 근로자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에 대한 성장욕구의 직접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는 부정적 정서조절과 내적 동기의 매개역할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장욕구와 직무열의의 관계에 대해 부정적 정서조절과 내적 동기는 매개효과를 가졌으며, 성장욕구와 직무탈진의 관계에 부정적 정서조절이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성장욕구와 직무 열의, 직무탈진의 관계에 대한 부정적 정서조절 및 내적 동기와 같은 심리적 특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