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3.
        2021.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use N-body/hydrodynamic simulations to study the evolution of the spin of a Milky Way-like galaxy through interactions. We perform a controlled experiment of co-planar galaxy-galaxy encounters and study the evolution of disk spins of interacting galaxies. Speci cally, we consider cases where the late-type target galaxy encounters an equally massive companion galaxy, which has either a late or an early-type morphology, with a closest approach distance of about 50 kpc, in prograde or retrograde sense. By examining the time change of the circular velocity of the disk material of the target galaxy from each case, we nd that the target galaxy tends to lose the spin through prograde collisions but hardly through retrograde collisions, regardless of the companion galaxy type. The decrease of the spin results mainly from the de ection of the orbit of the disk material by tidal disruption. Although there is some disk material which gains the circular velocity through hydrodynamic as well as gravitational interactions or by transferring material from the companion galaxy, it turns out that the amount of the material is generally insucient to increase the overall galactic spin under the conditions we set. We nd that the spin angular momentum of the target galaxy disk decreases by 15{20% after a prograde collision. We conclude that the accumulated e ects of galaxy-galaxy interaction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total angular momentum of late-type galaxies.
        5,200원
        1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입목 재적표는 전국에서 수집한 데이터로 제작한 전국 공용의 재적표이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적용할 경우 재적을 과소 또는 과대 추정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지역의 재적생장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홍천, 평창, 영주 3지역의 지방별 입목 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소나무 다음으로 많이 식재되어 있는 낙엽송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추정에 적합한 수간곡선식의 도출을 위해서 Max & Burkhart식, Korzak 그리고 Parresol et al.의 세 가지 수간곡선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적합도, 편의, 잔차의 표준 편차 등의 통계량을 분석하여 각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수간곡선 모델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낙엽송의 수간생장을 표현하는 데에는 Kozak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ozak 모형을 이용하여 낙엽송의 지방별 수간재적표를 조제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지방별 수간재적표와 전국단위의 낙엽송 수간재적표와 비교한 결과, 홍천, 평창, 영주 3지역 모두에서 현재 재적표보다 재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0.000<α=0.05), 또한 그리고 지방별 재적표간의 재적은 통계적으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0.603>α=0.05), 평균의 단순 비교에서는 홍천, 평창, 영주 순으로 재적이 높게 나타났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