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국 136개 시군에 있는 690개소 벼 관찰포에서 12종의 주요 해충을 6월 1일부터 9월 16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총 8회 조사한 결과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2018년도 벼 주요해충 12종의 총 발생 추정면적은 94,049ha로 재배면적 대비 12.7%에 발생되었다. 발생면적이 가장 많았던 해충은 먹노린재로 해충 총 발생면적의 34.9%인 32,779ha(재배면적 대비 4.4%)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2018년 먹노린재 발생은 평년의 346%, 전년의 155% 수준으로 최근 몇 년간 계속해서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전남(15,191ha)과 충남 (10,041ha) 지역에서 발생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먹노린재 다음으로는 벼물바구미 17,711ha(재배면적 대비 2.4%), 흰등멸구 14,885ha(재배면적 대비 2.0%), 혹명나방 9,130ha(재배면적 대비 1.2%), 애멸구 4,960ha(재배면적 대비 0.7%)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10년간 평균간 비교하여 발생이 증가된 해충은 먹노린재 1종이었으며 나머지 11종은 발생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2018년 벼 주요해충의 발생정도는 전년대비 59%, 10년간 평균 대비 38% 수준으로 발생이 낮은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은 2010년 8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충남 공주, 예산의 사과와 불루베리를 가해하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미국선녀벌레는 2005년 8월 김해 한림의 단감원에서 처음으로 성충이 발견되어 2008년과 2009년에 김해, 수원 등지에서 확인된 후 최근까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꽃매미는 2004년 천안에서 처음 발견되어 2006년부터 발생이 꾸준히 증가되다 2013년을 정점으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018년도 돌발해충들의 국내 발생분포와 현황을 확인하고자 전국 농경지 및 농경지 주변을 대상으로 3월(3.5-3.23)에는 월동난, 7∼8월(7.31-8.10)에는 약·성충 발생을 조사하였다. ‘18년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 조사결과 89개 시군에서 4,628ha로 전년보다 발생지역 7개 시군이 증가 되었으나 발생면적은 8.1% 감소되었으며, 꽃매미는 80개 시군에서 701ha로 발생되어 갈색날개매미충과 유사하게 전년보다 발생지역은 3개 시군이 증가되었으나 발생면적은 10.5% 감소되었다. ‘18년 약·성충 조사에서는 꽃매미는 95개 시군, 1,171ha, 갈색날개매미충은 94개시군, 7,867ha, 미국선녀벌레는 123개시군, 14,779ha에서 발생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발생지역은 확대되는 경향이었으며, 발생면적은 전년대비 꽃매미는 1,047ha, 갈색날개매미충은 967ha 감소되었으나 미국선녀벌레는 4,475ha 증가되었다. 특히 미국선녀벌레의 경우 경기와 경남지역에서 급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국 136개 시군에 있는 690개소 벼 관찰포에서 12종의 주요 해충을 6월 1일부터 9월 13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총 8회 조사한 결과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2017년도 벼 주요해충 12종의 총 발생 추정면적은 158,942ha로 재배면적 대비 21.1%에 발생되었다. 발생면적이 가장 많았던 해충은 애멸구로 43,875ha(재배면적 대비 5.8%)이였고, 그 다음으로는 혹명나방 34,112ha(재배면적 대비 4.5%), 벼물바구미 22,802ha(재 배면적 대비 3.0%), 먹노린재 21,118ha(재배면적 대비 2.8%)순 이었다. 평년보다 발생면적이 많았던 해충은 애멸구, 멸강나방, 먹노린재로 애멸구는 평년보다 113%수준, 멸강나방은 평년대비 136% 수준, 먹노린재는 269% 수준이었다. 먹노린재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2017년 벼 주요해충의 발생정도는 전년 대비 96% 수준으로 유사하였지만, 평년대비는 56% 수준으로 발생이 낮은 경향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