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ong the developed bío-degradable polymer fílms as compared wíth transparent fílm(Whíte), black polymer fílm was sígnífícantly more effectíve for controllíng weeds ín red pepper. Also, we found that whíte and black polymer mulchíng had 81.8% and 97.9% of managing weed controllíng effects in rice, respectively. Compared to nonmulched rice paddy with water supply, the non-mulched rice paddy wíthout any water supply has stopped its growth at 41 days after transplantíng, whíle polymer -mulched rice paddy without water supply had about 60% of normally growing rice plants. This shows the polymer treatment has a remarkable effect on water and power saving, solution of herbicidal resistance, avoidance of herbícidal influence to eco-system etc. When the naturally decomposíng polymer was used, a temperature was elevated as high as 4.7 ℃ on maximum and 2.6 ℃ on average. Also the naturally decomposing polymer accelerated rooting by 7 days and lowered a stress level from transplanting. The weed control effect mulched by polymer was remarkable as 98. 7%. The p이ymer now, after 294 days treated on the rice paddy, has been completely decomposed.
        2.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대두형 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하고 비닐멀칭을 했을 때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져 다마미도리 지두를 4월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파종기로 하고, 비닐로 멀칭과 무멀칭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멀칭을 할 경우 무멀칭에 비하여 촉진되어 4월 13일 파종구는 11일 축진되었다. 개화일수도 멀칭을 할 경우 평균 6일이 단축되었고, 4월 13일 파종구는 12일이 단축되었다. 2. 멀칭구는 무멀칭에 비하여 주경장이 컸으며,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l0a당 건경중도 많았다. 평균 100립중은 차가 없었다. 멀칭의 경우 늦게 파종한 구에서 주경장이 컸고,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건경중도 높았으며, 100립중도 무거웠다. 이러한 현상은 일찍 파종한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무멀칭의 경우는 멀칭구와 같은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멀칭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율이 높으면 자반병 리병입율은 낮아졌다. 무멀칭구는 멀칭구에서와 같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4. 멀칭구에서는 무멀칭구보다 평균 20%가 증수되었고, 파종기별로 보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 미이라병에 대한 리병정도가 심하여 수량이 낮았고, 늦게 파종한 구에서 수량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