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임상실습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구체적인 개 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경광학과의 현행 임상실습 현황조사, 실습기관의 만족도 조사, 타 직군 임상실습 현황조사, 2차 안경 사 직무분석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들과 교육생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임상실습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운영현황은 42개 대학이 임상실습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대학이 사전교육, 실습일지 등을 운영하고 있었다. 교과명, 이수학점, 시행 시기는 다르게 나타났다. 직무교육 내용은 42개 대학 중 14개(33.33%) 대학만 기재되었고 목적, 순서 등 단순한 내용으로만 기재되었다. 실습기관의 경우 임상실습 교육 은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나 임상실습의 내실화와 표준화를 통해 교육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 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 직군 보건의료인 현장실습 교육현황은 현장실습교육의 인식 부재, 교육과정의 표 준화 문제, 표준화된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부재, 표준화된 현장실습 매뉴얼의 부재, 교육품질의 문제, 교육환경의 문제 등이 공통으로 제기되었다.
결론 : 안경사를 양성하기 위한 임상실습 교육이 형식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내실화 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운영 및 직무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임상실습 매뉴얼이 필요하다.
목적 : 본 연구는 중국의 옵토메트리 교육제도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중국 옵토메트리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중국의 옵토메트리 관련 정보는 중국학술정보원(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중국안경협회(China Optomatric and Optical Association, COOA), 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 바이두(baidu) 및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을 통해 수집되었다.
결과 : 중국의 교육제도에 따르면, 중국의 옵토메트리스트는 중등직업학교(3년제), 전문대학(3년제), 종합대학 (4년제), 의과대학(5년제) 및 단기 직업기능훈련기관 등에서 각각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학점 (수업 시간)은 각각 중등직업학교 152점(3,120시간), 전문대학 154점(2,800시간), 종합대학 중 촨베이이쒜위엔 (천북의학원)은 205.5점(3,795시간), 산동디이이커따쒜(산동제일의과대학)는 166점(2,730시간) 및 의과대학 중 난징이커따쒜(남경의과대학)는 297점(3,786시간), 원저우이커따쒜(온주의과대학)는 230.5점(3,249시간)으로 나타 났다.
결론 : 중국 내 옵토메트리 교육 현황 및 교육제도를 조사하였으며 교육의 체계적인 관리와 인력의 수행 능력 평가 방안이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목적 : 본 연구는 대학별로 실시하고 있는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매뉴얼과 타 분야의 매뉴얼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인 임상실습 매뉴얼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방법 : 대학별로 실시하고 있는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매뉴얼과 타 분야의 매뉴얼을 비교·분석하였다. 안경광학과 매뉴얼은 크게 절차 및 활용, 운영기준, 인정기준, 운영교과 등 네 가지 범주를 통해 검토하였고 타 분야 매뉴얼은 임상실습 소개, 임상실습 이해, 임상실습 운영방법, 평가 등 네 가지 범주를 통해 검토하였다.
결과 : 대학별로 임상실습 매뉴얼을 비교해본 결과 절차 및 활용, 인정기준, 그리고 교과목 등에서 통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임상실습의 비중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4개 직군(방사선사, 물리치료사, 간호조무사, 응급구조사)의 임상실습 매뉴얼들은 전반적으로 평가요소를 잘 갖추 고 있으며, 통일화되어 있는 운영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 : 예비안경사의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임상실습 매뉴얼은 미비하다. 좀 더 많은 경험을 쌓기 위해 학생들이 안경사의 직무를 체험하고 직무능력이 고루 향상될 수 있는 임상실습 표준 매뉴얼의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