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4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lina Robineau-Desvoidy (어리가시집파리속, 신칭)은 집파리과(Muscidae) 가시집파리아과(Phaoniinae)에 속하는 큰 분류군 중 하나 로 전세계에 540여종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기록이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미기록속 Helina Robineau-Desvoidy 및 미기록종 H. deleta (Stein, 1914), H. evecta (Harris, 1780), H. subpubiseta Xue, 1986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한, 분류 학적 정보, 형태학적 사진 및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4,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chydeutera Loew, 1862(코주부물가파리속, 신칭)는 물가파리과, 물가파리아과에 속하는 작은 분류군이다. 지금까지 이 속에는 전 세계 적으로 16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모든 동물구계에서 발견되지만 아열대 및 열대 지방, 특히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종 다양성이 풍부하다. 본 연구 를 통해 Brachydeutera속을 국내 미기록종 B. meridionalis (Rondani, 1856)(코주부물가파리, 신칭)과 함께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 종에 대한 진단 형질, 형태학적 사진 및 생태사진을 제공하였다.
        4,000원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martphone camera quality has been progressing alongside the advancement of the smartphone market. Consequently, there has sparked interest in macro photography of insects using smartphones either through using built-in "macro mode" or accessories like macro lenses, mounts, and auxiliary lighting. However, some limitations have become apparent, including challenges in capturing small insects, a short focal distance of no more than 10 cm, a narrow focus range, and lower image quality compared to dedicated cameras. We introduce an effective knowhow to these problems when taking pictures of insects in the field using a smartphone. And it provides a manual for tele-macro photography in the field,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martphone and accessory development.
        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Brachydeutera Loew, 1862 is a small group of acalyptratae flies belonging to the subfamily Ephydrinae in the family Ephydridae. Up to now, 16 described species have been recorded worldwide, and although it occurs in all fauna regions, it is most diverse in the subtropics and tropics, particularly in Africa and Asia. This genu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fauna based on the discovery of a nominated species, Brachydeutera meridionalis (Rondani, 1856). Diagnoses, figures of morphological features, and an ecological photograph of the firstly recorded species are provided herein.
        10.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part of the third ATM Challenge, we performed a series of atmospheric dispersion simulations for routine releases of Xe-133 from ordinarily operating nuclear facilities such as Medical Isotope Production Facilities (MIPFs), Nuclear Power Plants (NPPs), and Research Reactors (R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using our ATM, Lagrangian Atmospheric Dose Assessment System (LADAS), with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NWP) data produc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simulation time period is 6 months, from June to November in 2014, and we used the stack emission data except for CNL (Canada) and IRE (Belgium) in accordance with the scenario of the third ATM Challenge 2019. In addition, the simulations were done individually for all MIPFs, NPPs, and RRs. We utilized 3-hourly KMA’s Unified Model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UM-GDAPS) data with 0.35°×0.23° horizontal resolution as input meteorological fields and extracted hourly time series results for Xe-133 activity concentrations with few different resolutions such as 0.5°×0.5°, 0.35°×0.23°, and 0.1°×0.1° at several IMS stations in the Northern Hemisphere which were in normal operation in 2014. Considering previously reported values of daily Xe-133 release amounts for CNL and IRE, measured signals at some IMS stations (such as CAX17, DEX33, SEX63, and USX75) were well reproduc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16.
        2020.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은 2017년 9월 3일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6차 지하 핵실험을 단행하였다. 이전에 수행했던 핵실험들과 달리 풍계리 핵 실험장 주변에서 몇 차례의 유발지진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지하에 갇혀 있던 방사성제논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에 발생한 유발지진을 고려하여 핵실험으로 발생한 방사성제논의 몇 가지 방출 시나리오에 따른 대기확산 모의실험을 본 연구진이 개발한 LADAS (Lagrangian Atmospheric Dose Assessment System) 모델에 기상청의 수치예보자료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방사성제논의 가능한 검출 위치와 시간을 찾기 위해, 1일 간격 및 1주일 간격의 지연방출뿐만 아니라 유발지진으로 유출된 지연방출 시나리오도 설정하였다. 포괄 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 Organization)에서 운영중인 전세계관측망(International Monitoring System)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133Xe 탐지 결과는 유발지진으로 유출된 방사성제논의 방출 시나리오에 따른 모의실험의 결과와 대체로 부합되었다.
        4,500원
        18.
        2019.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로 인해 일본 동부 지역에 다량의 방사성 핵종이 축적되었다. 이러한 방사성 물질은 숲, 도시, 하천, 호수를 포함한 넓은 범위에서 관측되고 있다. 방사성 세슘의 토양 입자에 강하게 흡착하는 특성 때문에 방사성 세슘은 침식된 토사와 함께 이동하여, 인구가 밀집한 하천 하류지역으로 그리고 연안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환경의 오염된 토사의 이동을 재현하기 위한 수치모델을 개발하고, 그 성과의 일부를 한국원자력연구원 내에 위치한 침식 된 토사 관측 장비에서 관측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집된 토사 시료의 입경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표준 체분석과 이미지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수치 모델은 초기 포화도, 강우의 토사 침투율, 멀티 레이어, rain splash 등을 고려하여 현실의 강우에 따른 토사의 이동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2019년 연구에서는 수치모델에 나무에 의한 강우 쉴드 효과, 증발효과, 표면물의 쉴드 효과 등이 추가될 계획이다. 토사 유실 관측 장비를 2018년부터 월성 원전 인근에 설치해 지속적으로 관측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이러한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방사성 핵종의 강우, 하천, 연안으로 이동하는 장기 영향 평가 수치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