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a has been reported to alleviate male menopause symptoms in humans and experimental animals; however, its mechanism of action in improving male menopause has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action of gelatinized maca in improving male menopause by analyzing serum testosterone, testicular androgen receptor (AR) expression, and testicular oxidation-antioxidation balance. Gelatinized maca was administered orally to aged male C57BL/6 mice at three doses (500, 1,000, and 1,500 mg/kg/day) for 28 consecutive days. Serum biochemical analysis showed an increase in serum hydroxysteroid 17-beta-dehydrogenase 13 (HSD17β13) concentration at 1,500 mg/kg/day and a decrease in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SHBG) concentration at ≥ 1,000 mg/kg/day. Gelatinized maca administration also resulted in the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testicular AR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at 1,500 mg/kg/day. Oxidative stress analysis showed an increase in testicular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ies and a decrease in testicular malondialdehyde at 1,500 mg/kg/day. In conclusion, gelatinized maca administration to aged male mice increased HSD17β13, AR and CREB expression, and antioxidant capacity and decreased serum SHB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gelatinized maca may be a useful substance that can help alleviate male menopause symptoms.
The development of thermoelectric (TE) materials to replace Bi2Te3 alloys is emerging as a hot issue with the potential for wider pract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layered Zintl-phase materials, which can appropriately control carrier and phonon transport behaviors, are being considered as promising candidates. However, limited data have been reported on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metal-Sb materials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layered materials through the insertion of cations.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FeSb and MnSb, which are used as base materials for advanced thermoelectric materials. They were confirmed as single-phase materials by analyzing X-ray diffraction patterns. Based on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eebeck coefficient, and thermal conductivity of both materials characteriz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zT values of MnSb and FeSb were calculated to be 0.00119 and 0.00026, respectively. These properties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layered Zintl-phase materials with alkali/alkaline earth metal insertions.
본 연구에서는 폴리술폰 분리막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정제 공정으로 고선택성 소재를 이용한 2단 공정의 높은 회 수율 및 경제성과 동등한 수준의 회수율을 확보하기 위해 저온 고압의 분리막 공정을 설계하고 평가하였다. 폴리술폰 고분자 를 4성분계 도프를 이용하여 비용매 유도 상전이법으로 중공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기체 분리용 중공사 분리막은 1.6 m2의 유효 막면적을 갖는 샘플을 제조하여 상온 및 저온에서 기체 투과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기체분리막 모듈의 온도에 따 른 기체 투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온도별 단일 기체 투과도를 평가한 결과 이산화탄소와 메탄 투과도는 20°C에서 각각 412, 12.7 GPU이며, -20°C에서는 각각 280, 3.6 GPU로써 이상 선택도는 32.4에서 77.8로 향상되었다. 단일 기체 투과 테스 트 후 혼합 기체에 대한 분리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모듈 1단 구성 및 2단 구성(막 면적비 1:1, 1:2, 1:3)을 통하여 투과 거 동을 살펴보았다. 1단 구성에서는 stage-cut이 상승함에 따라 메탄의 농도가 상승하지만, 반대로 회수율은 떨어지는 결과를 나 타내었다. 2단 구성 테스트에서는 메탄 농도 97% 기준에서 막 면적비 1:1보다 1:3이 메탄의 회수율이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공급 기체의 온도가 낮을수록 메탄의 회수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폴리술폰 2단 공정에서 메탄 농도 97%, 회 수율 97%의 결과를 달성하였다.
The diaphragm is an important part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am in the steam turbine. Because it is subjected to high pressure by high temperature steam, there should be great concerns about breakage of parts, runouts due to vibration by rotating parts, and deformation due to creep effect and fatigue breakage due to long-term use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turbine components in such a harsh environment, structural analysis should be prioritized prior to manufacturing prototypes.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design stability of the diaphragm, physical safety is checked through static analysis, vibration analysis, and fatigue analysis, and the fatigue life is predicted. The total deformation, equivalent stress, and strain are determined by static analysis, and the stress and total deformation by the harmonic response are obtained through vibration analysis, and the stability is judged by comparing it with the characteristic value. We intend to verify the safety of the design and propose a complementary diaphragm design.
대형 유조선에서 유류의 선적이나 하역에 사용되는 장치인 COPT (Cargo Oil Pump Turbine) 가 매우 큰 형태이므로 이 터빈을 회전시키는 장치가 Rotor disc로서, 내부에 stator ring이 장착되어 있고 이 ring에는 많은 turbine blade가 riveting 방법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riveting 은 재래식 가공 방법으로서 정밀도와 작업자의 근 골격계 직업병 등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iveting 체결방법을 조립방법으로 전환하여 링의 조립정밀 도를 향상하고 stator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많은 turbine blade가 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는 형태로서 조립을 위한 구조개선을 필요로 한다. 이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는 ring 구조를 결구 방식으로 변경하고 조립 후 COPT에 적용하였을 때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Stator 링의 모델링과 구조안전성에 대한 검증은 상용 software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최근 다양한 유기재배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굼벵이류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굼벵이류는 토양 내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발생시기 및 그 종류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해충이다. 피해를 끼치는 굼벵이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 고구마 유기재배지에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굼벵이의 성충의 종류 및 발생 동향을 조사하였다. 조사지는 무안 유기재배농가와 국립농업과학원 완주군 포장에서 이루어졌다. 3종의 풍뎅이 페로몬 루어를 유인제로 사용하였으 며 6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조사지에 트랩을 설치하여 포획된 풍뎅이를 수집하여 동정을 하였다. 유기재배포장에서 포획된 종은 큰검정풍뎅이, 콩풍뎅이, 청동풍뎅이, 녹색콩풍뎅이, 별줄풍뎅이 등의 풍뎅이와 흰점박이꽃무지 등이 주로 채집되었다. 유기재배 고구마포장에서 풍뎅이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최대로 발생한 시기는 7월초였다.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is the main pest that mediates pine wilt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that causes serious damage to pine forests.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strategy to control M. alternatus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The fungi were collected from soil by an insect-baiting method and two fungal isolates (Metarhizium anisopliae JEF-197 and JEF-279) showed high virulence against M. alternatus. The Metarhizium isolates were evaluated for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M. alternatus by spray treatment on live pine trees and wintering trees, and the M. anisopliae JEF-197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In addition, the interaction of fungi and M. alternatus were analyzed by RNA-seq.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sect control agents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OBIGGS에서는 대기 중의 미량의 오존이 고분자 분리막의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전단에 오존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분리막에 전해지는 기체에서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분리막의 손상을 막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BIGGS용 기체 분리막을 이용하여 오존 노출시간에 따른 인장강도와 기체투과특성을 평가하여 오존 노출환경과 투과특성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폴리이미드계와 폴리설폰계 두 종류의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하였고, 6.37 cm2의 유효 막 면적을 가지는 중공사 모듈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오존 챔버를 이용하여 오존의 농도를 2-3 ppm으로 유지하였으며, 챔버 내의 기체를 펌프를 이용하여 모듈내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였으며, 오존 노출시간에 따라서 기체투과특성과 인장강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폴리이미드계 중공사 분리막은 투과도에서 20%의 감소만 나타났을 뿐, 선택도와 인장강도에서 다른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폴리설폰계 중공사 분리막을 사용하였을 때는 투과도가 80% 이상 감소하였고, 인장강도는 70% 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general separation processes for liquid mixtures need the energy consumed and causes of primary cost. The pervaporation separation process could be regarded as the energy saving process[1]. In this study, it is introduced that the preferential isopropyl alcohol separation from the aqueous feed was carried out using the composite membran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the operating temperature, feed concentration etc. And the commercial scale module was prepared and tested for the long-term period, and finally the stabilized and consistent results of both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were obtained.
Rotor disc (로터 디스크)는 중대형 유조선에서 유류를 하역하는 장치인 COPT (Cargo Oil Pump Turbine)의 터빈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핵심 부품이다. 이 rotor disc는 중심 shaft에 여러 개의 turbine을 원주상으로 배열하고 체결하여 제작한다. 현재의 제작 방법으로는 turbine blade를 배열하고 shroud 덮개로 연결하여 riveting 방식으로 체결한다. 이런 고전적인 방법은 blade pitch의 불균일은 물론 작업 시 오류로 인해 blade에 손상이 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립식의 rotor disc를 설계하여 제작방식을 변경해야 한다. 설계뿐만 아니라 조립식의 disc가 구조적으로 안정한지를 평가해야 한다. 본 논문은 blade의 설계와 이를 조립하였을 때에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구조 해석하여 그 안전성을 검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