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환경 요인을 바탕으로 절화용 국화 생장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3개의 모델(Linear Regression, Lasso Regression, Ridge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K-Nearest Neighbors (KNN),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Neural Network,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AdaBoost, CatBoost, Stacking)의 성능을 R2, MAE, RMSE를 평가 지표 로 비교하였다. 단일 모델 중에서는 Decision Tree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R2값은 0.90에서 0.91 사이였다. 앙 상블 모델 중에서는 CatBoost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R2=0.90~0.92) Random Forest와 XGBoost 또한 유사한 성 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트리 기반 앙상블 모델이 국화 생장 예측에 적합한 모델로 나타났다.
수소 동위 원소는 중성자 수에 따라 경수소, 중수소, 삼중수소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원소는 특정 분야에서 사용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수소는 전자 산업, 원자력에너지 산업, 분석기술 산업, 의약품 산업, 그리고 통신 산업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냉각 증류, 열 주기 흡수 공정, Girdler sulfide 공정, 그리고 수전해와 같은 기존의 방법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 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공정에 기반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는 기술을 기반으로 분리하는 공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막을 사용한 수소 동위 원소 분리 기술이 에너 지 소비를 줄이는 유망한 해결책 중 하나라 볼 수 있다. 이 총설에서는 분리막을 활용한 수소 동위원소 분리에 관한 선행 연 구와 그들의 작동 원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제시되고 있는, 그래핀 기반 전기적 펌핑을 통한 수소 동위원소 분리 기술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분리막을 활용한 수소 동위원소 분리에 대한 기술은 이제 개념이 제안되기 시작한 단계이며, 많은 부분에서 해결해야 할 난제가 있다. 그러나 이를 달성할 경우 경제적인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hydrogen energy, a technology enabling safe storage and the transport of large amounts of hydrogen is needed. Porous material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hydrogen storage material; however, their gravimetric hydrogen storage capacity (GHSC) at room temperature (RT) is insufficient for actual use. In an effor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present a N-doped microporous carbon that contains large proportion of micropores with diameters below 1 nm and small amounts of N elements imparted by the nitrogen plasma treatment. The N-doped microporous carbon exhibits the highest total GHSC (1.59 wt%) at RT, and we compare the hydrogen storage capacities of our sample with those of metal alloys, showing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 hydrogen storage materials.
To determin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in the salivary gland of a water stick-insect, Ranatra chinensis Mayrt, a subtractive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The salivary gland was determined among three salivary gland-like tissues by investigating transcription levels of five trypsin genes isolated from R. chinensis. The major transcripts encoding trypsins (64.4% of the total ESTs) were eliminated from the library and then remaining salivary gland-specific genes were searched. A total of 643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were clustered and assembled into 148 contigs (49 multiple sequences and 99 singletons), among which 35 contigs had matched BLASTx hits (E ≤ 1.00E-4). Salivary apyrase occupied 5.6% (36 ESTs) of the library. Apyrase is known to be released by female mosquitoes or blood-sucking assassin bugs to prevent blood clots during blood sucking. Therefore, apyrase in the salivary of R. chinensis might allow R. chinensis to facilitate feeding. Several contigs encoding acid phosphatase, hyaluronidase, prophenoloxidase, and dipeptidylpeptidase IV, commonly found in venoms of Hymenoptera, were also identified from the salivary gland-specific library. Discovery of salivary glandspecific genes should promote further studies on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the saliva of R. chinen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