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roke is the major cause of death and can cause neurological damage. The striatum serves as an input gate of the basal ganglia in assisting motor behavior. The activity-dependent synaptic plasticity in the dorsal striatum (DS) is known to play a key role for recovery of motor control after brain injury. Exercise supports functional recovery from ischemic brain injury through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induced synaptic plasticity. Exercise upregulate the levels of BDNF within both the hippocampus and cerebral cortes and might act as a gate that primes the brain to respond to environmental stimulation, while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ability of neurons to resist insul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exercise on neuroprotection in the D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the neuronal cell population in the DS. Transient focal brain ischemia was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on male Sprague-Dawley rats (300±30). Animals were subjected to forced treadmill exercise group and sedentary group after MCAO. Exercise improved neurologic functions measured by modified neurological severity score. Exercise group showed reduced infarct volume measured by vital staining with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DS with antibodies of neuronal nuclei (NeuN) protein,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 matured neuronal marker and an astrocyte marker respectively and BDNF. Ischemic injury decreased NeuN+ cell population but exercise attenuated this decrease while increase in GFAP+ cell population induced by MCAO was inhibited by exerci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urological function recovery by exercise after ischemic brain injury may be mediated by alteration of neuronal cell population in the DS.
        2.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예사료생산을 목적으로 대맥·호맥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와 시비량, 그리고 예취시기와 높이, 예취회수가 청예건물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식물체의 출현율에 있어서 대맥은 10월이 지나게 되면 출현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한계파종기는 10월말이었으며, 호맥은 11월초까지 파종하여도 출현율의 차이가 없다. 2. 월동률은 비료수준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파종시기간에는 대맥의 경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률이 높았으며, 호맥은 파시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다. 또한 호맥이 대맥보다 월동률이 높았다. 3. 출수기의 청예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경향이었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청예수량이 높았다. 4. 출수기 때 예취한 식물체의 조성분 중 조단백질·조지방 함량은 비료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조회분·조섬유 및 TDN 함량은 시비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FE는 비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yield는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5. 2회예취처리에서는 1차예취시기가 빠를수록 호맥에서는 수량이 많은 경향이었으나, 대맥의 경우에는 1차예취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예취높이는 12cm를 유지해 줄 때 재생이 좋아서 총수량이 많았다. 1회, 2회, 예취회수에서는 2회예취에서 청예수량 및 TDN yield가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