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ribe Bythinini Raffray is species-rich pselaphine group including over 600 species distributed worldwide. Despite its diversity, only one genus, Bryaxis Kugelann, has been reported in Korea. In this study, we newly describe Bryaxis sp. n. mainly based on the male antennal modification. We also report a new species of the genus Tychobythinus Ganglbauer from Korea. Members of these two bythinine genera are commonly characterized by the traits of maxillary palpi: elongated second palpomere, shortened penultimate, and enlarged last one. In addition, we conducted phylogenetic analyses to demonstrate the relevance between antennal modification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 of Bryaxis. To perform the phylogenetic construction, we assembled three mitochondrial genes (cox1, cox2, and 16S) and three nuclear genes (18S, 28S, and wingless) into a dataset. Eleven species of Bryaxis and two Tychobythinus species are included, the latter genus of which are used to root the consensus trees.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oniaceritae is the most speciose supertribe of the subfamily Pselaphinae with more than 3,000 species worldwide. Brachyglutini is the only tribe within New Zealand Goniaceritae, comprised of 8 genera. Physobryaxis Hetschko is monotypic genus of the subtribe Brachyglutina. Although the adults of P. inflatus is close to the members of genus Gastrobothrus Broun, 1882, it is characterized by median antebasal fovea and antebasal sulcus on pronotum. In this study, we report six species of Physobryaxis examining 21 specimens. Illustrations of the habitus, diagnostic characters including male genitalia, and key to the species are also provided. Additionally, we present a distributional map divided into areas based on Crosby’s code.
        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업용 사료첨가제 생균제의 제품정보 조사와 미생물학적 평가를 통해 제품개선방안을 모 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업용 생균제는 무작위로 수집하여 표기균주 및 보증균수 조사, 실제 제품의 생균수 및 우점균주 평가, 유통기한 변화에 따른 품질평가, 항생제 내성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제품에 표기된 보증 생균수는 평균 6.98 log10 cfu/g, 혼합된 미생물은 평균 2.37개, 주요 미생물은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Lactobacillus acidophilus, L. plantarum으로 조사되었다. 실제 제품 분석결과 생균수와 표기균주 모두 일치한 제품은 22.22%, 불일치 제품은 24.44%로 분석되었으며 주로 검출된 미생물은 S. cerevisiae, B. amyloliquefaciens, B. licheniformis, Enterococcus faecium 으로 나타나 표기정보와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항생제 감수성 평가결과 클로람페니콜에 대해 저항성이 가장 높았으며 암피실린에 민감성이 가장 높았다. 상업용 생균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자체 품질관리 강화와 유통구조 개선이 시급하며 제품의 신뢰성 회복을 위한 효과검증 및 안전성평가에 대해 관리기관의 지속적인 제품 모니터링 및 규정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Nipponobythus was first described by Jeannel in 1958 from Japan based on Nipponobythus syrbatoides Jeannel 1958. Löbl described the genus Machulkaia (type species: Machulkaia mirabilis Löbl 1964), but it was synonymized under Nipponobythus later. Nipponobythus holds 14 species from Korea, Japan and China. Three species (N. chilisanus, N. dolharubang and N. omissus) are currently recorded in Korea. Members of this genu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selaphine genera in having concave frons with golden pubescence in males. Here we describe a new species of Nipponobythus from Mt. Gahak, Jeollanam-do, South Korea. This new species is externally similar to N. chilisanus Nomura & Lee 1996, but has differences in male genitalia.
        1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축분뇨의 냄새 저감용 제제의 효율적 활용 및 관리를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환경개선제의 동향 및 냄새제거 효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사료첨가용 제제는 전체 제품의 80%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분뇨살포용 제제 그리고 음수첨가용 제제 순이었다. 대부분의 제제들은 0.1-0.2% 사용을 권장하였으며, 전체 제품의 71%를 차지하였다. 환경개선제 유효성분 중 가장 많은 원 료는 생균으로 전체 제제의 8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규산염, 허브 그리고 유기산과 효소로 구성된 제제 순이었다. 환경개선제용 생균제로 이용되는 미생물들은 Bacillus coagulans, B. fermentum, B. thuringiensis, B. licheniformis, B. subtillis,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acidophilus, L. fermentum, L. lactis, L. plantarum, L. casei, L. brevis, Streptococcus faecium, Clostridium butyricum,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niger 및 A. oryzae 등이 사용되었다. 냄새제거 효능 평가에서 암모니아 발생 억제 효능을 가진 제품은 전체 제품의 71%이었으며, 48시간까지 효능을 발휘하는 제품은 29%이었다. 암모니아를 30%이상 감소시킨 제품은 암모니아 저감 효능을 나타낸 제품 중 44%를 차지하였고, 24%의 제품이 10% 미만 그리고 나머지 32%의 제품은 10-30% 수준의 저감 효 과를 나타냈다. 황화수소를 30%이상 감소시킨 제품이 32%로 가장 많았고, 8%의 제품이 10% 미만의 그리고 나머지 6%의 제품은 10-30% 수준의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가축 분뇨의 냄새 방지와 관련하여 다양한 종류의 제제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었으며, 앞으로 환경개선제의 효율적 활용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효능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