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181.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산, 해양자원을 개발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 해양환경요소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원격제어장치를 제작하여 수온에 대한 원격제어실험을 행한 결과, 수은온도계로 직접 측정한 측정치와 원격제어 시스템에 의한 측정치는 수온 12℃~37℃ 범위에서는 완전정상관을 이루어, 본 원격계측 시스템은 수온의 원격제어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수중정보의 원격제어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000원
        182.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용 강판(KR Grad A-3)과 라임티타니아계 피복 아아크 용접봉(E4303)을 이용하여 대기중용접 및 습식 수중 용접하여 TRC 임계응력치, 열 사이클, 경도분포, 확산성 수소량, micro조직 등을 실험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RC 시험에 의한 초기 임계응력치 Σ 하(cr) 은 대기중 용접 및 수중용접의 어느 쪽에서도 Y groove 형상의 경우가 각각 71kg/mm 상(2), 51kg/mm 상(2) 로서 가장 높고, 반대로 45˚r 형 groove의 경우가 각각 52kg/mm 상(2), 41kg/mm 상(2)로서 최저이며, 수중용접부의 냉파괴 감수성이 대기중용접보다 높다. 2. 용접부의 경도는 조립 열영향부에서 가장 높고 대기중용접에서 약 H 하(k) 365, 수중용접에서는 급격한 냉각속도 때문에 약 H 상(k) 670으로 높게 되어 후자의 경우 파괴 감수성의 증가에 의한 낮은 임계응력치를 갖게 된다. 3. 48시간 동안의 확산성 수소량은 대기중용접에서 약 18cc/100g-weld-metal, 수중용접의 경우 약 48cc/100g-weld-metal로서 수중용접의 경우가 약 3배 정도 더 침입하고 있으므로 이의 방지책이 필요하다.
        4,000원
        183.
        198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격측정장치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조사하고, 정치망주변의 수중환경소음과 축양조내의 수중생물소음을 각각 직접.원격측정을 동시에 행하여 그 주파수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격측정장치의 송신기의 입력신호전압을 100~300 mV로 하였을 때 수중환경소음의 원격측정치와 직접측정치는 50Hz~2KHz의 주파수범위에서 상관계수가 0.97로 가장 잘 일치하였다. 2. 원격측정한 수중환경소음의 음압준위는 송수신기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3. 축양조내의 수중생물소음을 원격측정하여 스펙트럼 분석한 결과 50Hz~2KHz의 주파수범위에서는 원격측정치와 직접측정치가 잘 일치하였으며, 2KHz 이상에서는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원격측정장치의 송수신기의 총합주파수특성을 높이면 여러 가지 해양환경요소의 원격측정과 원력어군탐지기의 제작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86.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ederwater ambient noise was measured at the set net in the Neung-Po Eay.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depend upon oceanographic conditions of sound propagation and its implication on the source of ambient noise. The result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the maximum noise level of two passenger. vessels was around 300 Hz. The spectrum level of the fast vessel (the Air-Ferry) was lower than the little slow vessel (the Olympic) between 50-150 Hz in frequences. 2. The spectrum level of the surface in the playground of the set net was lower than the deeper water till 500 Hz, but over that frequency the level was getting lower as the depth was deep. 3. The spectrum level outside the bag of the set net was greater than the inside between 50 and 700 Hz, but over 1,500 Hz the level inside the bag was higher than the outside. 4. The spectrum level of the outside of the breeding tank was higher than the inside in the daytime. However at night opposite phenomenon occurs.
        4,000원
        187.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that air noise and underwater noise in the Somjin Estuary are measured and analysed to get the basic data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on the underwate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spectrum level of air noise in the Somjin Estuary increases until 500Hz, and decreases a little over 2KHz. 2. The spectrum level of underwater noise in the Somjin Estuary increases from 50 Hz to 1 KHz, but it decreases over 1 KHz as the depth is deeper. 3. When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is scarce but the influence of flowing speed is significant, the noise level seems to be higher at speedy layer than at slower layer. 4. The underwater sound level seems to be wider at speedy layer than at slower layer.
        4,000원
        188.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압변압기의 1차측을 제어하고 2차측에 유도된 전압을 이용한 수중방전음원의 전기음향학적 제특성을 분석.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전시 2차측 전류는 초기에는 Ohm 법칙을 따르다가 전류가 최고 6.3A 흘러 절연 파괴되었으며, 그 순간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2. 전류인가점과 방전음 생성문의 시간차는 약 3ms였으며, 전압이 최고일 때 절연파괴가 일어나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3. 전극의 끝이 뾰족할수록 2차측 전압이 높을수록 음압수준은 높았다. 4. 뾰족한 형태의 전극은 전극간격이 100cm일 때도 방전이 일어났으며 전극간격이 1cm이상부터 비교적 안정된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5. 방전음의 펄스폭은 약 0.15ms인 Shock Wave였으며, 10HKz 이하의 합성저주파 성분이었다.
        4,000원
        189.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해의 Norway 근해에 있는 외해의 한 점과 Bergen권 입구에 있는 Skossvassen 내만에서 수중환경소음을 측정하여 그 음향 spectrum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Norway 근해에서 측정된 수중환경소음의 주된 주파수대는 500Hz 이하의 저주파였다. 2) Skossvassen 내만에서 측정된 수중환경소음은 10m층에서의 음압이 25m와 50m층에서의 음압보다 약 7dB정도 높았다. 이것은 주된 소음원이 관측점부근을 통항하는 선박이나 육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표층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3) Norway 근해의 외해에서 측정된 수중환경소음은 각 층에서 측정된 spectrum의 형태와 음압준위가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어서 원거리에 있는 소음원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92.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용 강판(KR Grade A-1, SWS41A, SWS41B)의 수중용접 최적화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산 라임티타니아계 용접봉 피복제의 흡수속도는 약 60분에서 일정하게 되고, 침수시간 8분까지의 흡수속도는 약 0.15%/min 였으므로 40cm 용접기간중의 정미 흡수량은 약 0.22%미만에 불과하였다. 2. 위의 이유와 건조, 직접, 침수용접봉에 의한 대기중, 수상, 수중용접과 모재의 인장강도 및 미시조직 비교실험결과에 의하면, 수중용접시간이 8분이내의 충분히 짧은 때에는 강도상 건조된 직접용접봉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3. 용접조건이 수중용접비이드에 미치는 영향을 KR Grade A-1강판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용접각도는 60˚, 용접전류는 160A정도, 용접봉지름은 4mm인 경우가 적합하며, 또한 비이드외관과 X-선검사에 의하면 일미나이트, 라임티타니아, 고산화티탄계 용접봉이 가장 적합하였다. 4. 위의 용접봉 종류와 각 지름에 대해 비이드외 관검사에 의한 적정 수중용접전류의 범위는 어느 일정 범위내에 제한되며, 용접봉지름의 증가에 따라 전류는 증가하는 경향이다. 5. 수중용접부의 용착금속부에 관한 기계적특성조사에 의하면, 인장강도와 항복강도는 입열량과 이차함수적 관계가 성립되고, 이음효율이 100% 이상의 범위가 존재하며, 충격치와 스트레인은 모재의 경우보다 낮으나 그 증가현상이 고입열량 범위에서 존재하므로, SWS41A에 대한 수중용접 최적입열량범위는 약 13~15KJ/cm이다. 한편, 인장-인장 편진 피로한도가 모재의 경우보다 높고, 충격치와 연신율을 고려하여 구한 최적입열량의 범위는 약 16~19KJ/cm로서, 피로강도를 높이기 위한 입열량은 정적 인장강도때보다 고입열량으로 수중용접해야 한다. 이때 모든 실험식의 신뢰성은 95%수준이다. 6. 수중용접부에 대한 X-선검사와 미시조직검사 및 경도분포조사에 의하면 용접결함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특히, 깊이 1mm 표층부의 모재측 열영향부와 본드(bond)와의 경계부근에 경도 Hv400 max으로서 미세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퍼얼라이트와 소량의 조대한 입계페라이트 조직이며 그 외의 부위는 퍼얼라이트와 페라이트 조직으로서, 수소취성영향의 극심한 경도증가 및 조직은 발견되지 않았다. 7. 위에서 구한 입열량의 최적범위 내에서의 제어에 의하여 수중용접 할 경우, 신뢰성 있는 용접품질의 최적화가 가능할 것이다.
        4,200원
        193.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체의 횡요에 따른 물표입사음압의 변동한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선미식 트로올어선인 새바다호의 축적 1/50 FRP 모형선의 선저에 75 KHz용 초음파진동자를 부착시켜 음속축의 각변위에 따른 직접입사파음압의 변동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체의 횡요가 없을 때 선미선상에 대한 직접입사파음압의 분포는 좌우정횡선상 및 중앙선상의 그 분포보다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2. 선체의 횡요에 따른 직접입사파음압은 선미선상 및 중앙선상에서보다 좌측정횡선상에서 더 큰 변동을 나타내었다. 3. 음소축으로부터 좌즉횡선상으로 60cm되는 측정점에서의 음압변동률은 78.1로서 다른 측정점에서의 그 변동률보다 매우 컸으며, 각 측정점에 대한 직접파음압의 측정치와 계산치는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94.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레이다에서 전파반사표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코오너리프렉터를 수중 초음파반사표지로 응용하기 위하여, 코오너리프렉터의 수중초음파반사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28,50,75KHz의 주파수에 대하여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았고, 반사지향성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예리하였다. 2. 직경이 150mm이고, 코오너각이 15˚, 30˚, 45˚, 60˚, 90˚인 코오너리프렉터의 최대반사강도는 각각 -25.0dB, -17.2dB, -15.2dB, -13.4dB, -11.0dB로서, 코오너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주엽 수는 코오너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3. 직경이 80mm이고, 코오너각이 90˚인 코오너리프렉터를 2,3,4,5,6,7개씩 음속축을 중심으로 간격없이 평면배열한 경우에 있어서, 반사강도는 각각 -18.2dB, -16.5dB, -15.4dB, -14.3dB, -13.4dB, -12.9dB로서, 이론치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코오너리프렉터수의 평방근에 비례하였다. 4. 직경이 80mm인 코오너리프렉터의 방향각(0,θsub(a))이 0˚, 2.5˚, 5˚, 7.5˚, 10˚, 12.5˚인 경우, 반사강도는 각각 -21.2dB, -21.9dB, -23.4dB, -26.0dB, -30.0dB, -36.8dB로서, 방향성이 증가함에 따라 반사강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95.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부해안기후의 특성과 수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해안지방인 부산, 여수, 목포를 준표준 내륙지방으로 광주와 대구, 인근 해양의 가덕도, 소리도, 홍도의 수온을 선정하여 20년 간(1960~1979)의 관측자료로서 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지방(부산, 여수, 목포)은 해양의 영향으로 내륙지방(대구, 광주)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기온이 수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의 기온보다 높고, 수온이 기온보다 높을 때는 내륙지방이 해안지방보다 낮다. 2) 수온과 기온의 차에 따라서 내륙지방과 해안지방의 기온차가 결정되며(상관계수 0.9이상) 그 양적 예측도 상관관계식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3)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도 기온의 경우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목포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다른 해안지방과 다르게 나타났다. 4) 수온과 기온의 차이에 따라서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습도의 차이가 결정된다(상관계수 0.9이상, 목포제외), 그러므로 그 양적 해석도 가능하다. 5) 남해안지방의 강수량은 내륙지방과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3,000원
        196.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the measurement of the underwater noises produced by the engine vibration around the engine room of stern trawler MIS Sae-Ba-Da(2275GT, 3,600 PS) and pole kner M/S Kwan-Ak-San (243 GT, 1000 PS) while the ship is stopping. The underwater noise pressure level was measured with the underwater level meter of which measuring range is 100 to 200 dB(re bLPa). A and B denotes the maximum pressure level measured at right beneath the bottom of the engine room, while the main engine of the Sae-Ba-Da revoluted at 750 and 500 rpm, respectively. C denotes that of the main engine of the Kwan-Ak-San revoluted at 350 rpm, and D that of the generator of the Sae-Ba-Da revoluted at 720 rpm. Thus A, B, C and D were set for the standard sound source fo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noise Pressure level at A, B, C and D were 170.5,165,153 and 158dB, respectively. 2. When the check points distanted vertically 1, 10, 20, 30, 40, 50m from the sound source, the underwater noise presure levels were 170.5, 155, 148, 144 and 138 dB and the directional angle was 116\ulcorner in case of A. 3. The sound level attenuated at the rate of 20dB per 10" meters of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s. 4.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noise was 100Hz to 10KHz and predominant frequency was 700 to 800Hzminant frequency was 700 to 800Hz
        4,000원
        197.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underwater recording system was designed to measure the sound spectra of the underwater noises produced by fishing gears in operation. Recorded were noi~es from three types of fishing gears: an anchovy set net, three anchovy boat seine net and a stern trawlnet. Acoustic analysis were made using a heterodyne analyzer, a digital frequency analyzer and a level recorder. The no;'e produced by the anchovy set net was found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the onset of ambient noise spectrum with a slope of - 6 dB/octave. Here the ambient noise spectrum is higher, though similar in shape, than Knudsen spectrum, and is attributed to the breaking action of the coastal wave. Measured noise spectra during the fishing operations of the anchovy boat seine nets are attributed to the background noise of the sea in the presence of the fishing vessel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noise was 20~5, 000 Hz in the case of two steel anchovy boat seiners, and 20-3,000 Hz in the case of the wooden anchovy boat seiner. The predominant frequency range was 250~350 Hz and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was 122 dB (re 1μPa) in the case of the steel boat and ] 17 dB in the case of the wooden boat. The noises produced by the trawl fishing gears are remarkably higher than the background noi~e in the presence of the fishing vessel.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noi~e was 20-6,300 Hz. The predominant frequency range was 100~200 Hz and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was 137 dB ( re 1μPa) . The noise spectra were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at caused by vibrations of the towing cable and the structure of the ground rope of the trawl net towed in an experimental tank.
        4,800원
        200.
        196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ated the variation of the hydrodynamic resistant coefficient K of hand knitting plane model net which was set perpendicularly to the flow of water. The scale of the model net was determined after Tauti's principle for similarity law and experi nent was conducted for measuring the coefficients about two cases of the nets composed of flat knot (reef knot) and trawlers knot(sheet bent). The scale of the model nets which was used in experiment were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and full scale.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n circulating water tank came to the conclusion that; a. The hydrodynamic coefficient of trawler knotted net showed about 0.55 higher than the flat knotted net. b. The value of K coincided approximately with the value estimated by the formulae which H. Miyamoto, M. Nomura and Y. shimozaki calculated from experiment. c. The hydrodynamic coefficient K were not varied when the scale ratio was larger than 1/50, the value of K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1/60 and suddenly increased at 1/80 and 1/90. Therefore, when we design a model net it is appropriate to restrict the scale ratio to less than 1/50,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locity of the full scale is 1.3 knot in this experiment.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