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9

        18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수처리용 세라믹 한외여과 빛 광촉매의 혼성공정에서 휴믹산 농도 및 광산화, 흡착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휴믹산 농도 각각 2mg/L와 4 mg/L 일 때 UF 단독 공정 및 광촉매를 투입한 공정, UV를 조사한 공정을 막오염에 의한 저항(Rf) 및 투과선속(J), 총여과부피 (VΤ)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휴믹산 농도가 낮아질수록 Rf는 급격히 감소하고 J는 증가하여, 휴믹산 농도 2 mg/L에서 VΤ는 가장 높았다. 탁도의 평균 처리효율은 휴믹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4 mg/L에서 휴믹산의 처리효율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휴믹산 농도에서 휴믹산 대부분이 분리막에 의해 제거되고 막을 통과한 일부 휴믹산은 광촉매에 흡착 산화되어, 처리수의 수질이 휴믹산 2 mg/L 와 4 mg/L 에서 거의 같고 원수의 수질은 4 mg/L에서 더 높기 때문이다. 광산화와 흡착의 영향 실험에서 UF + TiO2 + UV 공정의 J가 가장 높게 유지되어, 180분 운전 후 VΤ가 가장 높았다. 휴믹산 및 탁도의 처리효율을 비교한 결과, 휴믹산 농도가 2 mg/L 에서 4mg/L로 증가하였을 때 광산화 보다 광촉매 흡착이 더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4,200원
        18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정수처리용 세라믹 한외여과 및 광촉매의 혼성공정에서 TiO2 광촉매 코팅 구(bead)의 농도 및 물역세척 주기(FT), 물역세척 시간(BT) 변화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광촉매 코팅 구의 농도는 10~40 g/L로, FT는 2~10분으로, BT는 6~30초로 변화시키면서, 그 영향을 180분 운전 후 막오염에 의한 저항(Rf), 투과선속(J)과 총여과부피(VT)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광촉매 코팅 구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Rf는 증가하고 J는 감소하였다. 광촉매 코팅 구의 농도 40 g/L 에서 VT가 8.85 L로 가장 높았다. FT 변화 실험에서는 FT가 감소할수록, Rf는 감소하고 J는 증가하였다. 한편, BT 변화 실험에서는 BT가 증가할수록, Rf는 감소하고 J는 증가하였다. 또한, NBF(no back-flushing)에서 급격한 막오염에 의한 분리막 기공의 감소로 탁도 및 용존유기물(UV254 흡광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기 때문에, 탁도 및 용존유기물의 처리효율이 NBF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광촉매 코팅 구의 세척 효과로 FT가 감소할수록, BT가 증가할수록 탁도 및 용존유기물의 처리효율은 증가하였다.
        4,600원
        18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茶山丁若鏞(1762∼1836)은 利用厚生을 위해 외국 의 선진문화를 수용하자고 했다. 다산은 『技藝論』에서, 利用厚生을 위해 淸나라 의 百工技藝와 新式妙制, 즉 첨단 과학기술문명을 도입하자고 했다. 또한 일본의 ① 國防의 견고함, ② 우수한 造船技術, ③ 館倭의 房櫳(격자창)의 長點을 배우 자고 했다. 다산은 申維翰이, 通信使일행으로 가서 일본의 “器物의 정교함과 여 러 가지 調鍊하는 법”을 관찰하지 않은 것을 비판했다.(跋海槎見聞錄) 다산은 贈序에서, 使臣은 이용후생에 필요한 백공기예를 수입해오는 것이 제2의 책무라 고 했다. 다산은 ① 李基讓과 같이 剝綿攪車를 구입해와 이용후생에 기여한 사신(贈序), ➁ 申緯처럼 개인취미를 위해 怪石을 구입해오는 사신(題載石圖)으로 분류하고, 前者를 높이 평가했다. 淸나라에서 박면교거를 수입해온 李基讓의 공 로는, 목화 씨앗을 수입해와 이용후생에 크게 기여한 文益漸의 공적과 비견할 만 하다고 극찬했다. 다산의 외국 선진문화 수용론은 바로 이용후생을 위한 것으로, 현실주의와 실용주의에서 나온 것이다.
        8,100원
        189.
        201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개별적인 반·강접 복합접합부 구조물을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통하여 거동성능을 조사하는 대 초점을 두고 있다. 강제 보와 콘크리트 충전기둥 (CFT) 사이에 저탄소 강 구속재와 초탄성 (Super-elastic) 형상기억합금 (SMA) 재료의 구속재를 이용하여 연결한 방식이 제안된 접합부 구조물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설계는 초탄성 형상합금을 변형이 많이 일어나는 부분에 인장 바(Bar)로서 설치하여 복원현상을 기대할수 있다. 또한 저탄소 강재 바는 거동에 에너지 소산능력을 향상 시키는 대 기여한다. 반·강접 접합부는 단순한 핀이나 완전구속으로 모 델링이 불가능하므로 해석이나 설계가 실제로는 매우 복잡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구조물의 장점과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밀한 유한요소(Finite Element)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부의 전반적인 거동을 재현하였다.
        190.
        2011.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형구조물 설계 건설시 가장 큰 제한 조건은 모든 건설재료에는 치수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 에서는 고전 보 이론에 의하여 단순 지지된 비등방성 슬래브의 처짐값을 구한 후 그 값을 비교 하였고, 특별 직교이방성 판 이론에 의하여 콘크리트와 샌드위치 교량의 물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처짐비와 강성값을 비교하였다. 경계조건은 임의의 경계조건을 갖는 판에 대한 해석해가 없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네변이 모두 단순지지 되었을 경 우로 해석을 하였고 복합재료의 인장강도는 콘크리트나 강재보다 훨씬 높으므로 비교대상은 처짐으로 하였다. 즉, 철근 콘크리트와 동일하거나 작은 처짐을 일으키는 몇 가지 샌드위치판을 선택하여 고려하였다.
        3,000원
        191.
        2011.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erformance of composite safety barriers is evaluat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 composite safety barrier of SB4 grade is modeled. The MAT58 material model provided by LS-DYNA software is used to model composite material.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satisfies strength and deformation limit values. The barrier also satisfies THIV and PHD limit values of passenger protection performance.
        19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탁도 원수의 고도정수처리를 위해 관형 세라믹 정밀여과막 외부와 원통형 막 모듈 내부 사이의 공간에 광촉매를 충전한 혼성 모듈을 사용하였다. 광촉매는 PP (polypropylene) 구(bead)에 TiO2 분말을 플라즈마 화학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으로 코팅한 것이다. 정수 원수 중 자연산 유기물(NOM)과 미세 무기 입자를 대체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과 카올린(kaolin) 모사용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혼성공정에서 막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10분 주기로 10초 동안 물 역세척을 시행하였다. 휴믹산을 10 mg/L부터 2 mg/L로 변화시킴에 따라, 막오염에 의한 저항(Rf)이 감소하고 J가 증가하여 2 mg/L에서 가장 높은 총여과부피(VT)를 얻었다. 탁도 및 UV254 흡광도의 처리효율은 각각 98.5% 및 85.7% 이상이었다. MF 공정 및 MF + TiO2 공정, MF + TiO2 + UV 공정의 막여과 및 광촉매 흡착, 광산화의 처리 분율을 알아본 결과, 광촉매 흡착과 광산화에 의해 탁도는 거의 처리되지 않았으나, 광촉매 흡착 및 광산화에 의한 휴믹산 처리 분율은 각각 10.7, 8.6% 이상이었다.
        4,300원
        195.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Value-Added Galaxy Catalog (KIAS VAGC), a catalog of galaxies based on the Large Scale Structure (LSS) sample of New York University Value-Added Galaxy Catalog (NYU VAGC) Data Release 7. Our catalog supplements redshifts of 10,497 galaxies with 10 < rP ≤ 17.6 (1455 with 10 < rP ≤ 14.5) to the NYU VAGC LSS sample. Redshifts from various existing catalogs such as the Updated Zwicky Catalog, the IRAS Point Source Catalog Redshift Survey, the Third Reference Catalogue of Bright Galaxies, and the Two Degree Field Galaxy Redshift Survey have been put into the NYU VAGC photometric catalog. Our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mproves spectroscopic completeness: the area covered by the spectroscopic sample with completeness higher than 95% increases from 2.119 to 1.737 sr. Our catalog also provides morphological types of all galaxies that are determined by the automated morphology classification scheme of Park & Choi (2005), and related parameters, together with fundamental photometry parameters supplied by the NYU VAGC. Our catalog contains matches to objects in the Max Planck for Astronomy (MPA) & Johns Hopkins University (JHU) spectrum measurements (Data Release 7). This new catalog, the KIAS VAGC, is complementary to the NYU VAGC and MPA-JHU catalog.
        4,000원
        19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1차항 판이론에 기반한 적층된 ACM 경사판의 기하학적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비선형 동 적해를 구하기 위하여 Newmark 방법과 Newton-Raphson 반복법을 혼용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한요 소 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경사각도와 적층 배열의 변화가 판의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 분 석하였다. 몇 가지 수치해석 결과는 기존 연구자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새 로운 결과는 경사 적층 구조의 경사각도와 적층 배열과의 중요한 상호관계를 보여준다. 몇 가지 수치예제는 ACM 경사 적층판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4,000원
        199.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해역의 실시간 통항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대상해역의 자연적 환경특성, 지리적 특성, 교통특성, 통항선박의 통항패 턴 등을 기초데이터로 한 통합 위험도 평가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미 해상 위험도를 모델링 하여 정량적으로 표준화된 형태로 해상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항구별 자연환경적 여건, 해양사고의 통계, 기상상황, 해상교통밀도 및 패턴을 가지고 우리 나라 상황에 적합한 정량화 모델이 세워져야 한다. 본 연구는 VMS 고도화의 관점에서 연안해역의 실시간 통합안전 관리시스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루어 지고 있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