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3

        181.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산흡착력이 매우 크고 유효인산함량이 낮은 제주도 화산회토에 있어서 단옥수수 적정인산시비량을 밝히고자 1986년 제주(제주통)와 서귀포(남원통)에서 인산시비량( 0, 8, 16, 24, 32kg/10a)에 따른 단옥수수 교잡종 Golden Cross Bantam 70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사일수는 무인산구에서 보다 인산 16kg/10a 이상 시용에 의하여 1~2일 단축되었다. 2. 간장, 착수고, 10a당 생간엽 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3. 상품성 있는 이삭의 정균 길이 및 무게는 서귀포에서 보다 제주에서 컸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큰 경향이었다. 4. 주당 또는 10a당 상품성 있는 이삭수, 10a당 이삭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이차곡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인산시료와 단옥수수 가격을 고려한 적정인산시비량은 약 26kg/10a로 추정되었다.
        182.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두재배시 토양중 검기비 조절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pH가 낮은 개간지 토양과 pH가 높은 숙전의 토양에 질소, 인산, 가리를 조합 시비한 시험에서 식물체와 토양시료를 심취 분석하여 이들의 검기비와 녹두수량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토양중 Ca/Mg비는 녹두의 검수, 분지수 및 수량과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equation omitted) 비는 검수 및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개화기 토양중 Ca/Mg의 절위는 1.9∼6.4 절위이었으며 3.9 이상에서는 녹두 수량에 크게 영향하지 않았으나 1.9∼3.9 사이에서는 3.9에 가까울수록 녹두수량은 급격히 증가되었다. 3. 개화기 토양중 (equation omitted) 비는 0.17∼0.33절위이었으며 0.23이상에서는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하에서는 수량감소가 심했다. 4. 수확기 식물체중 Ca/Mg의 절위는 1.4∼4.3이었으며 2.6 이상에서는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1.4∼2.6 사이에서는 Ca/Mg 비가 클수록 수량이 증가되었다.
        183.
        197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기계이앙 육묘에 알맞는 상토의 종류와 상토 pH를 1977년 작물시험장 답작포장과 온실에서 조생통일과 통일을 공시하여 본시험을 실시한 결과 1. 기계이앙 육묘에 알맞는 상토는 식양토인 답토양에다 완숙된 퇴비분말을 2 : 1로 혼합작성한 상토가 투수력과 보수력이 좋아 묘생육및 묘소질이 양호하였다. 2. 상토의 pH에 따른 묘의 생리장해와 묘소질을 보면4∼5에서는 초장이 길고 건물중이 무거웠으며 뜸묘및 입고병 발생이 없어 묘소질이 양호하였다. 3. 상토 pH 6이하에서는 초장이 신장되지 않았고 뜸묘및 묘립고병발생이 심하여 묘소질이 양호하였다. 4. 기계이앙 육묘시 생리장해인 뜸묘와 입고병은 상토 pH가 높은데 기인됨으로 pHwhwjf이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5. 묘립고병및 뜸묘방제는 다찌가렌 분제를 상자당 5g 또는 다찌가렌악제를 1000배액으로 540cc 살포한 구가 무시용구에 비하여 묘립고병 및 뜸묘발생이 현저히 적어 다찌가렌시용 효과가 인정되였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