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3

        22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23.
        2015.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large scale surveys such as Sloan Digital Sky Survey have produced homogeneous samples of multiple-image gravitationally lensed quasars with well-defined selection effects. Statistical analysis on these can yield independent constraints on cosmological parameters. Here we use the image separation statistics of lensed quasars from Sloan Digital Sky Survey Quasar Lens Search (SQLS) to derive constraints on cosmological parameters. Our analysis does not require knowledge of the magnification bias, which can only be estimated from the detailed knowledge on the quasar luminosity function at all redshifts, and includes the consideration for the bias against small image separation quasars due to selection against faint lens galaxy in the follow-up observations for confirmation. We first use the mean image separation of the lensed quasars as a function of redshift to find that cosmological models with extreme curvature are inconsistent with observed lensed quasars. We then apply the maximum likelihood test to the statistical sample of 16 lensed quasars that have both measured redshift and magnitude of lens galaxy. The likelihood incorporates the probability that the observed image separation is realized given the luminosity of the lens galaxy in the same manner as Im et al. (1997). We find that the 95% confidence range for the cosmological constant (i.e., the vacuum energy density) is 0.72 ≤  ≤ 1.0 for a flat universe. We also find that the equation of state parameter can be consistent with −1 as long as the matter density m . 0.4 (95% confidence range). We conclude that the image separation statistics incorporating the brightness of lens galaxies can provide robust constraints on the cosmological parameters.
        4,000원
        22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3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증가하는 경관에 대한 관심에 따라 도시경관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도시경관을 객관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며 그에 대한 적절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월미은하레일 이 월미도 경관이 끼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여 월미도 환경과 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월미도의 입지여건, 월미은하레일의 현황 및 관광객·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만든 시뮬레이션 이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모든 연령층으로 폭넓게 조사하였다. 대상지의 사진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4가지 변화를 주어, 기존 사진을 포함 총 5가지 사진을 통한 시지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월미은하레일을 철거하는 방법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지만, 공사와 비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두 번째로 선호도가 높았던 색을 변경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월미도의 경관개선에 가장 효율적인 경관개선 방법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적은 금액으로 최대한을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