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6

        281.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은 1964-'65년에 걸쳐 한국의 남부지방 특히 대구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감나무에 수년전부터 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Oriental moth의 생태학적인 사항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수록하였다. (1) Oriental moth의 우화 최성기는 대구지방에서 6월중순경이다. 그리고 산란은 전부 엽이면에 하며 엽상에서도 엽선단부에 대부분 란이 산란되었다. (2) 란기간은 1964년의 평균이 일이었고 1965년은 로서 양년 모두 약 6일간이었다. 그리고 실내 사육실에서 부화율은 1964년이 였고 1965년이 었다. (3) 기주식물별 생장률에 있어서 체장생장은 4기주, 감나무, 고욤나무. 네군도단풍. 플라타너스에서 1령충에서 3령충까지는 고욤나무, 감나무, 플라타너스, 네군도단풍의 순위었으나 4령충 부터는 반대로 감나무, 고욤나무, 네군도단풍과 플라타너스의 순위였다. 두폭의 생장률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플라타너스엽을 식이로 한 개체들은 사육 20일 경과 후 전부 사멸하였다. (4) 본충은 1년에 1회 발생하며 탈피회수는 6회이다. 1회탈피는 부화 후 약 5시간 후에 일어나고 2-6회 탈피는 각각 약 7일 간격으로 일어났다. 그리고 최종탈피를 한 후 약 3일 후 Cocoon을 형성하여 월동한다. (5) 유충체상에 있는 침수가 위치별로, 각 령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령의 판정이 가능하다. 특히 L2, D2, D3, D8, D10의 침과 Ll, L3, L4, L5, L6, L7의 침은 각 령별로 그 수가 다르므로 침으로 령의 판정이 가능하다. (6) Cocoon내에서 Pupation은 감나무 지상에서 월동을 한 후 이듬해 5월 중순부터 Pupa가 형성되어 우화기인 6월 초순까지 계속된다. (7) 자성충이 체내에 가지고 있는 난수는 평균 1필당 당 개였다
        4,000원
        28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t gene derived from the B. thuringiensis has been used for developing GM crops, and corn, cotton and soybean producing B. thuringiensis toxins have been on the market for last 17 years or so creating a huge GM seed industry. One of the notorious pests in brassica crops is diamondback moth (DBM). In order to protect the insect plague of crops from DBM, 4-5 billion dollars have been wasted annually for applying integrated measures in worldwide. Major prevention is use of pesticides that may build the contamination level of chemicals in the ground and this practice threats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An alternative is to develop GM brassica crops and therefore we have developed GM cabbages resistant DBM using bt gene. Lots of T0 cabbages were tested for resistance and independent GM cabbages resistant to DBM were selected. Molecula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if GM cabbage holds one copy transgene and intergenic insertion. We found an independent GM cabbage and it contained a singly copy of the transgene without disturbing the insertion site. This one called C95 line with an status of event have been self-crossed for two generation (T2). Also we are working the development of GM cabbage with different vector that contains bar gene as a selection marker. So far 17 T0 cabbages have been obtained by bar selection.
        283.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t gene derived from the B. thuringiensis has been used for developing GM crops, and corn, cotton and soybean producing B. thuringiensis toxins have been on the market for last 16 years or so creating a huge GMO industry. One of the notorious pests in brassica crops is diamond backmoth (DBM). In order to protect the insect plague of crops from DBM, 4-5 billion dollars have been wasted annually for applying integrated measures in worldwide. Major prevention is use of pesticides that may build the contamination level of chemicals in the ground and this practice threats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An alternative is to develop GM brassica crops and therefore we have developed GM cabbages resistant DBM using bt gene. Lots of T0 cabbages were tested for resistance and independent GM cabbages resistant to DBM were selected. Molecula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GM cabbage to hold one copy transgene and intergenic insertion. We found two independent GM cabbages as an event and those have been self-crossed for two generation. Also we are working the development of GM cabbage with different vector that contains bar gene as a selection marker.
        284.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살충효과가 알려진 식물체들 중 8종을 공시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살충효과의 여부를 검정하고 친환경 유기농산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식물 추출물 1500mg·L-1에서 48시간 후의 배추좀나방 살충율은 고추씨 추출물이 83.3%로 가장 높았다. 생물검정을 해서 배추좀나방 방제효과가 있는 고추씨, 애기똥풀, 익모초, 박하, 황련 식물추출물 5종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식물체 5종의 약해 검정 결과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발아, 유아, 유엽의 생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온실 안에서 pot에 식물추출물을 처리하여 조사하였는데 열무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3.3%의 방제가를 보였고, 고추씨 추출물도 7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0%,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할 때 방제가가 66.7%이었다. 포장에서 선발한 식물추출물의 효과를 피해 엽률로 조사한 결과, 열무는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방제가가 62.4%로 나타났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64.6% 방제가를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12회를 처리 한 후 수확 전에 조사한 결과 열무는 황련추출물 및 고추씨추출물은 방제가가 87.4%, 83.7%였고, 엇갈이배추는 방제가가 황련추출물이 74.3%, 애기똥풀 추출물이 69.3%를 나타냈다.
        28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ganic Chinese cabbage fields, Commercial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ts are used widely against diamond 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We conducted the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ive spray-interval of commercialized B. thuringiensis against diamond back moth on Chinese cabbages. Chinese cabbage leaves were collected 0, 1, 2, 3, 6, 10days after treatment in first trial and 0, 2, 4, 7, 9, 11days after treatment. We compared the insecticidal property of sprayed B. thuringiensis and the density of it on surface of Chinese cabbages using collected leaves. The insecticidal property maintained high until nine days after commercial B. thuringiensis products sprayed.
        286.
        198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이화명충에 대한 경종적 방제법 확립의 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서 합리적 시비가 이화명충 발육과 생존.피해 및 우화억제 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아끼바레와 밀양 2003를 공시하여 규산과 질소의 시비수준을 달리한 Pot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화기의 유충체중.유충생존율ㆍ피해 등은 밀양 2003에서 아끼바레보다 모두 높았다. 그러나 규산ㆍ질소처리수준간에는 그 차가 인정되지 않았고 우화율은 품종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규산 수준간의 차이도 인정되었다. 2. 2화기의 유충체중은 아끼바레에서 밀양 2003보다 낮았으며 높은 질소수준에서 높았고, 품종과 규산수준 및 질소 및 규산 수준간의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다. 3. 2화기 유충의 생존율은 아끼바레가 낮았고 규산시용량을 증가시킬수록 낮아졌으며 경의 규질비와 유충생존율과의 사이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백수피해는 품종간의 차이보다 규산시용수준간의 차이가 더 컸지만 아끼바레에서 그리고 규산시용량이 많은 구에서 피해가 적었다. 경의 규산비와 백수율과의 상관관계는 두 품종 모두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5. 월동유충의 우화율은 규산시용수준간의 차이가 품종간의 차이보다 월등히 높았는데 밀양2003보 아끼바레에서 낮았고, 규산시용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규산비의 우화율과의 사이에는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규산을 시용치 않은 질소 20kg/10a구에서 우화율은 급격히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