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540

        36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thalia japonica (Klug, 1815) is a significant insect pest of turnips in Korea.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is species isolated in Korea is reported in this study, which is the first attempt to study Korean Athalia species. The circular genome is 15,662 bp in length and consists of 13 protein-coding genes, two rRNA genes, 22 tRNA genes, and an A+T-rich region. Consistent with most members of the genus Athalia, five of the tRNA genes are rearranged from the typical ground pattern of ancestral insect gene order. Phylogenetic analyses inferr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s of 25 mitochondrial genomes indicate that the Korean A. japonica is a distinct member of the genus Athalia. This study accumulates mitochondrial genome data of A. japonica from various countries,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mitochondrial genetic differences across geographical distances in the East Asian region.
        36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contrast to conventional silk fibroin, spider silk's potential as a scaffold material for tissue engineering is examined in this work. The remarkable qualities of spider silk are being researched for use in making films for tissue regeneration. In comparison to silk fibroin films, the study's analysis of orb-web spider Trichonephila clavata films highlights their improved cell adhesion and nanofibrous network structure. Tests for solubility substantiate the durability of spider silk films, while in vitro investigations demonstrate low cytotoxicity and enhance cellular viability. The conclusion highlights the exceptional properties of spider silk, which make it a viable option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and a step forward for in vitro cell culture and regenerative bioengineering.
        36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ider silk, which combines strength and lightness, emerges as an ideal candidate for non-woven fabric production. Unlike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silk are nontoxic and biocompatible and cause no allergic reaction. In particular, the dragline silk produced by the golden orb-web spider, Trichoephila clavata, is renowned for its superior strength and exceptional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other spider silks. Non-woven fabrics have found extensive applications in diverse industrial sectors, owing to their advantageous qualities such as breathability, durability, and lightweight characteristics. Natural dragline silk was extracted from the orb-weaving spider and subsequently randomly arranged. Compressing into a sheet-plane form, in addition to inducing the formation of water-resistant, stable β-sheet structures through ethanol vapor treatment or direct treatment, preserved the morphology of the silk fibers. The resulting non-woven sheets were analyzed with an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to observe their fine structures and mesh size were measured through image analysis.
        36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as used to examine the microscopic structural features and myofibril organization of cardiac muscle cells in the orb-web spider T. clavata. There are many myofibrils, many mitochondria, a large sarcoplasmic reticulum, and transverse tubules (T-tubules) in the muscle fibers, even if the myofibril striations may not be as noticeable as in skeletal muscles. Because of their consistent striations, sarcomeres are characterized by Z-lines that are 2.0 μm on average in length and do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A- and I-bands. A single T-tubule paired with a terminal cisterna of the sarcoplasmic reticulum constitutes a dyadic junction, which is primarily located at the A-I level of sarcomeres. Cells are joined by intercalated discs, which create several linkages via specialized junctions such as desmosomes, gap junctions, and fascia adherens—all of which are essential for heart function. Our results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learly show that the contraction of the spider's heart muscle is neurogenically controlled, since each fiber is innervated by a motor neuron branch via neuromuscular junction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urogenic process controlling spiders' cardiac muscle contractions and advance our knowledge of the peculiar cardiac muscle structure of these animals.
        36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rgiope are known to decorate their webs with various patterns. The purpose of these web decorations, referred to as stabilimenta, is still a subject of debate. They are believed to serve either as lures to attract prey insects or as a means of providing protection to the spider by enhancing the web's visibility to deter potential predators. In this study, we observed spide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un in a controlled laboratory environment. To assess the orientation preference of the spider, the frame was repositioned daily by reversing its direction. Over a period of 21 days, the orientation of the spider was meticulously recorded, distinguishing between the illuminated side (open side) and the shaded side (closed sid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visualization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stabilimenta in both juvenile and adult spiders. Our results represent that the decorative structure of stabilimentum shows diverse microstructural features according to the maturation level of the spider.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spiders tend to prefer the open side direction when stabilimentum is present.
        36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털진드기 유충 (Acari: Trombiculidae)은 쯔쯔가무시증을 전파하는 주요 매개체이다. 털진드기 유충의 발생량 은 가을철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환경 및 시기에 따라 발생 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충남 예산의 털진드기 발생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36-51 주차 (9-12월)에 걸쳐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논, 밭, 수로, 초지에 5m 간격으로 털진드기 트랩을 환경별로 5개씩 설치하여 채집하였다. 그 결과 총 3,257개체로 2017년 1,104마리, 2018년 785마리, 2019년 650마리, 2020년 160마 리, 2021년 139마리, 2022년 233마리, 2023년 186마리 채집되었다. 동정 결과 5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둥근혀털 진드기(Neotrombicula tamiyai)가 1,882개체(57.78%)로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발생 양상에 관한 연구는 매개 질환의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6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서식반경이 좁고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멸종위기 종으로 지정된 뚱보주름메뚜기(Haplotropis brunneriana Saussure 1888)를 대상으로 개체군 추이와 적절한 모니터링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방형구법과 선조 사법을 이용하여 밀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뚱보주름메뚜기에 대한 조사 자료가 부족하여 먼저 방형구법을 이용 하여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월 1회 서식지 내 개체군 밀도를 확인한 결과 6개체/100㎡(3월), 2개체/100㎡(5, 6월)로 각각 영월과 제천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고, 지역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2022년 3월부터 6월까지 월 3회 개체군 밀도를 확인한 결과 1.5(±0.79)개체/100㎡, 0.76(±0.11)개체/100㎡로 각각 영월과 제천에서 4월에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고, 지역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조사 방법에 따라 시기와 면적에 차이가 있어 이 두 방법을 정확히 비교할 수 없으나, 공통 적으로 3, 4월 약충 시기에 많은 개체가 확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6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mosquito surveillance monitoring in Chungnam Province from 2017 to 2020. A total of 130,750 mosquitoes were collected, and we analyze variations of mosquito populations with emphasis on the most abundant species. We also provide the field survey data based on the different habitats in Chungnam Province.
        36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존의 사후경과시간(PMI) 추정 방법은 대략적인 사후경과시간의 추정, 사후 48~72시간 경과 또는 부패 시 추정 불가능이라는 문제가 발생하여 최근에는 법의곤충학(Medicolegal entomology)을 통한 최소 사후 경과시간 (PMImin) 추정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식성파리의 발육 성장속도 파악은 시체의 최소 사후 경과시간 추정에 있어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곱슬털쉬파리(Parasarcophaga. similis)를 사육대상 종으로 선정하였다. P. similis는 부패한 시체를 섭식하는 시식성파리 중 하나로서, 발육 성장 속도에 따른 법곤충 학적(Forensic entomology) 최소 사후 경과시간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실험에 사용된 대상종의 경우, 경북 칠곡군 지천면 일대에서 6~9월경 야외쉬파리 채집하였고, 종 동정, 사육 및 증식, 예비 실험을 거친 후 본실험 을 진행하였다. 본실험은 산란 집단 케이지 내에서 산란 유도 후 12시간 간격으로 6개체를 샘플링하였고, 이를 Leica M125 Microscope (Leica Microsystems, Germany), EG-2HDNL(이지테크, Korea)로 이미지와 측정치를 확보 하였다. P. similis를 16~34°C 사이 7개의 온도 조건에서 성장 속도 측정을 3회 반복 실험하였으며, 곱슬털쉬파리의 최초 출현시점, 특정 온도 조건 별 발육 성장 속도 측정, 유충 몸길이 데이터, 이미지 자료, 표본 등을 확보하였다. 16, 19, 22, 25, 28, 31, and 34°C에서 P. similis의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달 기간은 각각 822.0±5.9, 605.0±12.2, 442.3±9.4, 339.3±6.1, 289.3±7.5, 253.0±8.0, and 248.7±3.4h이 경과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P. similis의 성장과정 데이터와 PMImin추정을 위한 지표로서 활용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37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외래종 등검은말벌은 양봉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양봉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경북 의성 및 안동 일대에서 양봉장 주변 2km 지점 내에 발생하는 등검은말벌의 벌집 밀도에 대해 조사하 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12월 1-20일까지 조사되었으며 육안, 망원경 및 드론을 통해 가능한 한 모든 지점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총 등검은말벌 벌집 수는 133개로 조사되었다. 그 중 의성에 위치한 5곳의 양봉장에서는 총 67개로 평균 13.4개, 안동에 위치한 5곳의 양봉장에서는 총 66개로 평균 13.2개로 나타나 두 지역이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10개의 양봉장 중 안동 안기동 일대 양봉장에서 최대 26개의 등검은말벌 벌집이 발견되었으며 의성 단촌 일대 양봉장에서는 4개만이 발견되어 큰 격차를 보였다. 양봉장에 피해는 주는 등검은말벌의 출현 비율은 주변 벌집 밀도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밀도 및 거리 등을 토대로 적절한 방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7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3년 국내에 침입한 외래종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은 현재 남한 전체에 확산된 상태이며 이들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방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 고 있으나 그 효과는 대부분 미미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외래종 등검은말벌에 대한 새로운 포식자 2종이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2023년 8월 11일 전북 무주군 적상면 일대에서 오소리 배설물 조사 중 배설물 속에 다량의 말벌 사체가 발견되었고 분석 결과 10여개체의 등검 은말벌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땅벌류를 주로 포식하는 오소리가 대형 말벌류를 포식하는 첫 기록이다. 또한 2023년 12월 10일 안동 일대에서 등검은말벌 벌집 조사를 하던 중 벌집에 10여 마리의 직박구리가 벌집 외피를 깨고 내부에 있는 애벌레와 성충들을 포식하는 장면이 관찰되면서 벌매에 이어 새로운 조류 포식자를 기록한다.
        37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세계 100대 악성 침입외래종인 유리알락하늘소(Anoplophora glabripennis)와 근연종인 노랑알락하늘소(가 칭, Anoplophora horsfieldii (Hope, 1843))가 2019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된 후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되었 다. 본 연구는 MaxEn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종 분포 모델을 이용하여 19개의 기후변화 변수에 노랑알락 하늘소(가칭) 먹이식물 5종(차나무, 팽나무, 멀구슬나무, 종가시나무, 비술나무)의 변수를 추가하여 외래해충인 노랑알락하늘소(가칭)의 현재·미래의 분포 가능지역에 대한 공간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 국가적 확산을 대응 하고자 한다. 모델 예측 정확도(AUC)는 0.983으로 출현지점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모델 예측 정확도의 증감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 중 먹이식물의 기여도가 7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75% 이상 분포 가능지역은 전라남도 진도군 일대와 경상북도 포항시 일대로 나타났으나 2050년에는 서해안을 따라 태안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북한의 고성군까지 분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5% 이상 분포 가능 면적은 현재 423㎢에서 2050년에는 9,270㎢로 약 대한민국 면적의 1/10 정도 확산될 것으로 예측된다.
        37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tick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icks using tick traps attached dry ice method at each four sites in Ulju and Gimhae counties, Gyeongsangnam-do from April to November, 2023. Two species belonging to one genera were collected with tick traps. A total of 1,064 ticks were collected as Haemaphysalis longicornis (Trap Index; TI 11.0), Haemaphysalis flava (TI <0.1) in Ulju and A total of 843 ticks were collected as Haemaphysalis longicornis (Trap Index; TI 8.7), Haemaphysalis flava (TI 0.1) in Gimhae 2023. Haemaphysalis longicornis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representing 99.2% in Ulju, 98.9% in Gimhae. In the collection environments, a total number of 685, 268, 64, and 47 ticks were collected from a glassland, a copse, a mountain path, and a grave of Ulju a total number of 469, 216, 83, and 75 ticks were collected from a glassland, a copse, a Grave, and a mountain path of Gimhae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the isolation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from the ticks, no pathogens were detected from RNA of 101 pools (Ulju), 98 pools (Gimhae) of the tick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in 2023.
        37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fection on the gut bacterial communities of the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with a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individuals. Utilizing specific primers, we determined the infection status and analyzed the bacterial composition across different taxonomic levels. Regardless of infection status or sex, Proteobacteria and Firmicutes were found to dominate the phylum level, with significant contributions from Actinobacteria and Bacteroidetes. At the class level, Bacilli, Gamma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and Actinobacteria emerged as prevalent groups. Meanwhile, the genus level was characterized by a high abundance of Lactobacillus, Rickettsia, Bacillus, and Rahnella. Our analysis of alpha diversity metrics, including Observed Species, Shannon Index, Inverse Simpson Index, and Phylogenetic Diversit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B. xylophilus infection; however, notable var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exes.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further underscored that the differences in gut bacterial communities were more pronounced between male and female beetles than between infected and uninfected individua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nfluence of host sex over infection status in shaping the gut microbiome of Monochamus alternatus, providing new insights into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host biology, gut microbiota, and pathogen infection.
        37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광릉 숲의 곤충상 조사는 19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릉 숲의 경로조사법에 의한 나비상 모니터링 연구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되었다. 26년 동안 총 223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118종, 20,181개체가 확인되었다. 봄철 출현하는 나비중 8종(노랑나비, 대만흰나비, 먹부전나비, 멧팔랑나비, 쇳빛부전나비, 애호랑나비, 큰줄흰나 비, 흰줄표범나비)은 첫 출현일이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평균 5.2일 빨라졌다. 조사된 나비중에서 큰줄흰나 비, 뿔나비, 남방부전나비 순서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으며, 연 출현 빈도는 큰줄흰나비가 26회로 가장 많았다. 확인된 나비의 분포, 서식지, 식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분포는 북방계 27%, 남방계 14%이며, 서식지는 산림 경계 36%, 산림 내부 33%, 초지 30% 그리고 식성은 다식성 8%, 단식성 42%, 협식성 51%로 이루어진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따른 나비류 생활주기 변화 여부를 검토하여 지구온난화 지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37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주요 질병들의 매개체로 인식되고 있으며, 도시 환경에 잘 적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도심 지역의 환경 변화로 인해 모기의 부화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관련 연구를 위해 서울시 내 25개의 기상청 자동관측장비(AWS)를 통해 수집된 기후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이 가운데 열섬 현상이 강한 도심 지역과 약한 교외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임의의 사이 구간을 생성하여 총 9개의 열섬 조건에서 흰줄숲모기의 부화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열섬 현상 이 강할수록 부화율이 증가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열섬 강도가 강해질수록 이러한 추세가 더욱 빨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열섬 현상에 따른 기온 변화가 흰줄숲모기의 부화율에 중요한 영향 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77.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강 3개 보 구간 수변부 11개 지점을 대상으로 2023년 총 2회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00종 평균 426.0 개체/m2였다. 여주보에서 6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강천보에서 59종, 이포보에서 54종, 한강보상류 에서 41종, 한강보하류에서 32종이 확인되었다. 전체 평균 개체밀도는 강천보에서 944.1 개체/m2로 가장 많았고, 한강보상류에서 282.7 개체/m2, 여주보에서 251.9 개체/m2, 이포보에서 180.6 개체/m2, 한강보하류에서 172.9 개체 /m2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강 보 구간에서는 플라나리아류, 실지렁이, 깔따구류 등이 우점함. 보구간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단순한 하상 및 깊은 수심에 적응성이 높은 실지렁이, 깔따구류의 우점은 일반적인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수변부에서 밀집된 플라나리아류의 채집이 이뤄져 우점된 결과를 보인 것으로 보임. 한강 보 구간 수변부 및 중앙부 조사지점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강보 하류는 3개 보에 비해 우점도가 높고 다양도 와 풍부도가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상류부에 위치한 한강보상류 등의 지점에서 군집안정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미소서식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378.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Hyadina Haliday, 1830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n fauna along with two nominate species: Hyadina fukuharai Miyagi, 1977, and H. pulchella Miyagi, 1977. Their diagnoses, external feature, and a key of these species are provided here.
        37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only two species of Dichaetomyia Malloch have been recorded in the Korean fauna. In this study, we report two unrecorded spec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External photographs, key to Korean species and taxonomic information are presented herein.
        380.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Muscidideicus Becker, 1917 is comprised of only one species, M. praetextatus (Haliday, 1855) reported in west Palearctic region. The adults were typically found on sandy beach within the intertidal zone. In the survey of Korean fauna, authors found three new to science species of this genus on the west sea side of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Descriptions and figures of external features of new to science species and key to species of the world are provided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