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huma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fortification of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hereinafter mountain fortress) in Haman through using pollen analysis. For this purpose, samples were taken at the Tr-2 site in the Warm-temperate for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① Before and after the fortific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the area around it has changed from a broad-leaved forest (The HS-I period) into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he HS-II period) and finally into a the mixed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The HS-III period). ② The HS-I period (before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compared to the nationwide pollen zone RIIIa during the Postglacial) was covered with cool-temperate southern forests(including some species of Warm-temperate trees) and was very similar to the current climate environment during the Gaya period before the fortification. ③ The HS-II period (mid to late 6th century, pollen zone RIIIa) was covered with typical cool-temperate southern forests after the fortification and the temperature was slightly lower than the first stage. ④ The HS-III period (7th~8th century/9th century, pollen zone RIIIb) is an era of clear human interference, causing the destruction of forests in earnest and paving an active agricultural life.
        2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단면증대 보강된 무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단면증대된 기둥의 단면 크기, 기존 콘크리트면의 표면거칠기 정도에 따른 단면증대된 기둥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표면거칠기 측정장치를 통해 표면의 거칠기 이력을 분석한 결과, 산술평균 거칠기, 최대높이, 상대높이는 거의 유사성을 갖는 반면, 이력길이와 평균 이력주기는 상관성이 떨어졌다. (2) 실험에서 나타난 최대하중을 비교한 결과, 단면증대공법을 수행할 경우, 축성능은 예상최대하중대비 최대 15%정도 감소하였으며, 거칠기 처리를 수행할 경우, 거칠기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강도가 약 4% 증가하였다. (3) 표면거칠기지표 5가지(산출평균거칠기, 최대높이, 상대높이, 이력길이, 평균이력주기)와 최대강도의 상관성을 선형추세선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 이력길이와 최대강도의 선형추세선에 대한 값이 0.25로 다른 표면거칠기지표와의 값 (0.057~0.138)보다 훨씬 큰 값을 보여주어 거칠기이력길이가 축하중을 받는 부재의 거칠기 성능과 상관성이 가장 큼을 확인하였다. (4) 최대하중의 40%정도 수준까지는 탄성적인 거동에 의해 프와송비에 따른 횡팽창이 발생하였으나, 이후에는 실험체 내부적 손상의 진행과 균열양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최대하중의 80% 수준부터는 횡팽창에 의해 변형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