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1980년대부터 전개되었던 미국 제1차 대각성 운동에 대한 수정주의 논쟁을 간단히 정리하고, 특히 김상근, 류대영, 그리고 이만형의 수정주의 입장에 대한 종합적 이해, 그들의 연구의 문제점, 그리고 본 논문의 결과들이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의 2장은 선택된 학자들을 중심으로 미국 1차 대각성 운동에 대한 수정주의 입장과 그에 대한 반응이 무엇이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김상 근, 류대영, 그리고 이만형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미국 제1차 대 각성 수정주의 입장이 그들의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러한 연구를 시도하였는지 연구한다. 나아가 그들의 연구에는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중심으 로 본 논문이 평양대부흥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고자 한다. 끝으로 지금까지 논의를 정리하고, 그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밝히고자 한다.
        2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웨슬리의 저널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저널의 자료, 즉 일 기(Diary)의 특징과 그 연관성, 저널의 문학특징, 저널의 출판 시기와 주요 내용과 사건, 그리고 저널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는 웨슬리의 생각과 사상 더 나아가 18세기 영국의 부흥운동에서 그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 해, 단순히 신학적인 주제를 따라 추적하는 방법이 아니라, 시간 흐름과 경 과를 의식하는 역사적 방법을 이용하여, 문학적·사회적 정황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대중문화사의 시각에서 그의 저널을 읽을 것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제까지 한국 신학계에서 웨슬리 저널의 출판 동기와 기록 방법에 대 한 질문이 없을 만큼 웨슬리 연구가 신학주제 중심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그 만큼 지성적이고 합리적인 웨슬리 찾기에 기울어져 있었다. 이 글은 웨 슬리의 보다 인간적이고 자연적인 모습을 추적하여, 더 입체적인 웨슬리 복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글 결론적으로 웨슬리의 저널에서 다음의 사항이 발견됨을 지적한다. 첫째, 그의 신학이 평생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그렇게 도달한 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완전,” 즉 성결을 목표로 하는 신학이었다. 둘째, 저널을 통 해 메소디스트 부흥의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 셋째, 웨슬리는 저널을 위해 현상학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넷째, 웨슬리 저널을 통해 18 세기 영국의 대중사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널을 통하여 결국 웨슬리 는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타락한 세상에 대한 대안공동체라는 것을 보이려 고 하였다.
        2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for the promotion council to make rehabilitation community development plan with rural villages to continue community development is investigated in Ota-district, which is affected by chuetu earthquake. Initially, Ota-district made the acting contents of the plan based on the village's request, which is considered resident life and problems in village. Next, Ota-district made the vision of plan based on the acting contents. This plan procedure has been effective to compliment th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and running on village event, in addition to setting the village's community to continue to manage community facilities and event. As a result, this way has helped good management of village event using the facilities and interchanging among residents. Also, the use of acting contents by request of the promotion council and village's community, while respecting both, has been effective in that the promotion council assists the village event after the rehabilitation community development plan is finished.
        24.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Korean and Western church historians and church leaders regarded the Pyongyang revival in 1907 was the first great revival in Korea, so that many events that celebrated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Pyongyang great revival were held in Korea in 2007. However, the first great revival in Korea started not in Pyongyang but Wonsan in 1903. In this paper, the writer points out some misunderstandings in terms of the early Korean revivals and then investigates why the Wonsan revival in 1903 was a great revival with two standards of Jonathan Edwards (1703-1758). Even though Yong-Kyu Park’s book, The Great Revivalism in Korea: Its History, Character, and Impact 1901-1910 was often evaluated as a fine work for the Korean revival study, some points of Park should be reconsidered for the better study for the early Korean revivals. First of all, Park used “undong” which means “movement” for the early Korean revivals. However, the early revivals in Wonsan and Pyongyang from 1903 to 1907 were not movements because they occurred not by people’s activities, but by the strong work of the Holy Spirit. Second, the Million Souls Movement from 1909 to 1910 was not a revival but an evangelical campaign. Third, rapid church growth phenomenons were not revivals. Last, but by no means least, Park made a decisive mistake by regarding the Wonsan revival as a general revival after separating it from the Pyongyang revival without any sufficient proof. For the reliable as well as persuadable criteria of great revival, two elements of the great awakening by Jonathan Edwards are significant. In his 1737 work, A Faithful Narrative of the Surprising Work of God, Edwards described the First Great Awakening in Northampton in 1734-1735, and offered two reasons why this awakening may be considered great: 1) all kinds of people, and 2) diffusing to other places. When we evaluate the Wonsan revival with the two standards, people can understand the Wonsan revival was a great revival. It is not only because various kinds of people (e.g., missionaries, missionary kids, old and young Koreans, and Korean men and women) explaine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or revival, but also because the Wonsan revival fire swept over almost all plac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Wonsan revival from 1903 was a great revival.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