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전문성 연구들은 참가자들에게 일상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문가와 초보자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일상적 비행 상황에 익숙해진 조종사들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비행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조종사의 숙련정도에 따라 정상적 및 비정상적 상황에서의 상황인식 능력이 차이가 나는지 관찰하였고 추가적으로, 전문성이 자극 제시 시간에 따른 수행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2명의 조종사들을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수행이 상황의 특수성 및 자극 제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조종실 계기판을 모방한 동영상이 제작되었는데, 동영상에 보여지는 계기판들이 모두 정상으로 움직이는 정상적 상황과 이들 중 하나의 계기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비정상 상황이 연출되었다. 또한 상황을 지각하기 위한 시간의 차이가 전문성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계기판 상황이 오랫동안 제시되는 긴 제시 조건과 상대적으로 짧게 제시되는 조건으로 조작되었다. 실험 결과,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 사이의 상황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이 초보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짧아졌을 때 조종사들의 전반적인 상황인식 정확도가 떨어졌지만, 전문가와 초보자의 수행차이는 변함없이 초보자 집단에 비해 전문가 집단의 높은 수행이 유지되었다. 비행 상황의 특수성과 제시 시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의 상황인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았을 때,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정상적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정상적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정확도가 초보자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볼 때, 비정상적 상황은 전문가 집단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는 큰 영향을 미치니 못하나 초보자 집단의 수행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종사의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이 비행비교 상황에서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행교육과정 조종사 48명을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상황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간 변인으로서 비행수행능력(비행등수)과 자존감 척도로 각각의 높고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 안전규칙상 착륙이 허가되지 않는 활주로 접근 시뮬레이션 상황을 수행하게 하였다. 접근 상황은 피험자 내 설계로 세 번에 걸쳐 측정하였고, 동일한 각각의 상황실험 수행 직전에 실험참가자에게 다른 사람들의 수행결과를 조작(긍정비교, 부정비교, 통제)하여 제시하였다. 실험참가자의 위험행동은 접근한 고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각 제시 조건에 따라 위험행동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고, 각 비교조건에서의 위험행동 경향은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비행수행능력이 낮은 집단은 비교조건들에서 통제조건과 달리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행수행능력이 높은 집단은 부정비교조건에서 다른 조건들과 달리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존감이 높은 집단은 통제조건에 비해 비교조건들에서 유의미한 위험행동을 보인 반면, 자존감이 낮은 집단은 다른 조건들에 비해 부정적 비교조건에서 유의미한 위험회피행동을 보였다.
        4,000원
        2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조종실의 위치, 빠른 접근속도와 수직강하속도로 인하여 불충분한 시각정보를 바탕으로 착륙 조작을 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형 비행기의 특징으로 인하여 비행기 착륙의 최종 조작인 당김(flare) 조작을 할 때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이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조종석 외부로 보이는 공항에 대한 사진을 제시하고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정적 시각 단서만으로 정확한 높이지각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85feet의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나 당김 조작을 준비해야 하는 높이인 55feet부터 낮은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를 추정하지 못하였다. 연구 2에서는 착륙의 전 과정을 녹화한 화면을 보여주어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동적 시각 단서와 정적 시각 단서를 모두 제공하여 주었다. 시각단서가 연구 1보다 풍부하였으므로 50feet까지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였으나 연구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당김 조작을 시작하는 높이인 30feet 이하의 저고도에서의 높이지각이 모두 부정확하였다. 시각 단서의 해석에 경험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경험이 많은 기장과 경험이 적은 부기장 간의 높이 추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1과 연구 2에서 모두 비교하여 보았으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4,900원
        2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als with the overall meta-cognitive aspects of ATC-Pilot miscommunications pertinent to cognitive human error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which it has been focused on the issue of the global aviation English use in regard with aircraft accident and incident. Especially, it addresses the concern over the ICAO aviatio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program which will be implemented globally in March, 2008. In addition, It presents the analysis related to the on-go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level four test conducted for Korean civil airlines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4,000원
        2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선박직원법상 승무기준의 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강력한 주장이 수산업계에서 제기되었다. 수산업계에서는 승무기준완화 입장을 유지하는 반면 노동계와 해기사협회 및 통신사협회는 현행유지 내지 기준의 강화를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선박안전운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박직원법상 소형선박조종사 승무기준의 타당성과 그 개선 방안을 연구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2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일반적인 인지이론을 조종사 기술의 범위로 확대시켜, 조종사가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상황인식을 하는지를 제시문과 비행 장면 일치성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측면의 변인에 따라 상황인식이 전문성의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비행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비행 상황 변인들과 비행 요소의 내용을 나타내는 비행 상황 변인들 모두 비행 상황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작업기억은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 상황인식의 바탕인 인지적 과정을 나타내는 구조화통합 모델의 이론적 틀 안에서 설명되어진다.
        4,800원
        27.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PQC system was introduced for the flight safety at the age of scientific safety management in the 1980s. In spite of performing this system, aircraft accidents caused by human factors, which were above 70% among all flight accident factors, have not been reduced. Accordingly, throughout this paper I analyzed the aircraft accident factors by means of a literature study and a pilot survey. Then, based on the notion of TQC(Total Quality Control), I hierarchically classified Individual Quality into Capacity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and General Management and did the low-ranked management factors as well.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one of the scientific management methods, was used for estim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dividual Quality Control factors and the heavy aircraft accident causes over the last 20 yea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light rank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sults derived above, an IPQC model as flight ranks is established. In short, according to this newly suggested model we can obtain the maximum flight safety with the preventive actions against aircraft accidents caused by human factors and by improving the operation effect under the reasonable pilot management.
        5,5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