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21.
        2013.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손성’은 화자가 청자를 얼마나 잘 배려하는가를 개념화한 말이다. 한국어에서 공손성은 문법적인 표지에서부터 담화 화용적 상황에서의 맥락적 차원으로까지 다양한 층위에서 드러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공손성의 하위영역의 하나인 완화표현이 실제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완화표현에 대한 교수 · 학습의 필요성을 제고해 보고자 한다.
        22.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심리적 욕구를 진단하고 분석하기 위한 한국형 기본적 심리욕구 만족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유층집락무선표집법으로 총 2,000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자료의 분석을 위해 수거된 자료 중 무응답 자료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일부 내용이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1,90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자료의 처리를 위해 SPSS V19.0과 AMOS V1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 내적 일치도 검사(Cronbach`s Alpha),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 수준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거쳐 체육수업에서의 한국형 기본적 심리욕구 만족 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방형 설문자료를 통해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기본적 심리욕구 만족의 문항으로 3요인 62문항을 선정하였다. 둘째, 3차에 걸친 조사 분석 과정을 거쳐 최종판 척도로 3요인 15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최종판 척도인 3요인 15문항에 대한 요인구조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