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2.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작물(經濟作物) 주산지(主産團地)의 식물기생선충 종류(種類), 분포상태(分布狀態) 및 기생선충 밀도(密度)에 따른 피해정도(被害程度)를 파악(把握)코자 채 및 깔데기법(法)으로 마늘, 감자 등 18개(個) 작물(作物) 3,226포장(圃場)을 조사(調査)하여 1. 16속(屬)(genus)의 기생선충을 분류(分類)하였음. 2. 마늘의 구근선충은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81% 이며 이중 마늘 1구당(球當) 30마리 이상의 선충이 검출(檢出)된 포장(圃場)은 96%로 이러한 포장에서는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3. 고추, 오이, 토마토, 땅콩에는 뿌리혹선충이 주요(主要) 기생선충이며, 포장검출율(圃場檢出率)이 높을 뿐더러 선충밀도가 토양(土壤) 100gr당(當) 100마리 이상되는 포장(圃場)이 각각 35%, 17%, 28%, 31%로 이러한 지역(地域)은 피해(被害)가 예상(豫想)됨. 4. 고추에 있어서는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가, 참깨에서는 Helicotylenchus dihystera, 사과에는 Pratylenchus vulnus, P. penetrans, 포도에서는 Meloidogyne hapla, 뽕나무에서는 Paratytylenchus projectus, P. aciculus, P. morius, Meloidogyne arenaria, Helicotylenchus dihystera 가 각각 주요(主要) 선충이었다. 5. 고추의 경작년수(耕作年數)가 많을수록 뿌리혹선충의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5년(年) 연작시(連作時) 토양(土壤) 200gr당(當) 3,500마리나 되었다.
        4,000원
        23.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중 Tylenchida 목에 속하는 Aphelenchoides parasaprophilus, Paraphelenchus myceliophthorus, Helicotylenchus belli, Quinisulcius capitatus 등 4종의 우리나라 미기록종을 발견하고 형태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중에 Paraphelenchus 속과 Quinisulcius 속은 우리나라 미기록속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식물기생 선충은 2목 18과 44속 102종이 발견되였다.
        4,000원
        24.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원예에 있어서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의 종류와 분포 그리고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밀도을 알기위하여 경남북 주요 시설원예단지 6개소를 대상으로 총 70개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원예단지에 있어서 조사포장에 대한 주요 식물기생선충의 속별 출현빈도는 Meloidogyne가 로 가장 높고 다음이 Tylenchus , Hirschmanniella , Aphelenchus , Aphelenchoides Merlinius , Pratylenchus 순이였다. 2. 지역별 선충밀도를 보면 Meloidogyne는 남지가 2104마리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밀양이 671마리 삼낭진이 401마리 순이며 Tylenchus는 성주가 57마리로 가장 높았으며 Pratylenchus는 구포가 127마리로 가장 높았고 Aphelenchoides와 Criconemoides는 각각 26마리로 34마리로 삼낭진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3. 지역별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밀도를 보면 남지는 대대분 고추-오이 작형, 밀양은 고추-배추 작형이었으며 Meloidogyne의 밀도가 가장 높았고 삼낭진은 대부분 딸기-휴작 작형이었으며 Meloidogyne와 Pratylenchus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구포는 공히 토마토-배추 작형이며 Pratylenchus와 Meloidogyne의 밀도가 가장 높고 성주와 유천은 수박-벼, 고추-벼 작형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선충의 밀도가 매우 낮았다. 4. 시설원예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선충은 Meloidogyne와 Pratylenchus이고 다음으로 지역과 작물에 따라서 다르나 Tylenchus, Aphelenchoides, Merlinius, Criconemoides라고 사료된다. 5. 시설원예단지에 있어서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은 총 2목 10과 13속 15종이 발견되었다.
        4,000원
        25.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제주도내 제주시를 비롯한 각 읍 면에서 28종의 기생식물, 42개 재료를 채취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주도의 식물기생성선충으로는 2아목 10과 16속 22종이 발견되었으며 속별분포율을 보던 Meloidogyne가 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이 Helicotylenchus로 이었으며 Criconemoides , Tylenchus , Pratylenchus , Neolobocriconema , Aphelenchus , Aphelenchoides , Hirshmaniella , Heterodera , Nothotylenchus , Tylenchorhynchus , Merlinius , Rotylenchus , Discocriconemella , Hernicriconenoides 로 나타났다. 2. 제주도에서 새로 발견된 종은 Nothotylenchus acris, Tylenchorynchus dubius, Merzinius nothus, Pratylenchus minyus. Pratylenchus thornei. Hirshmaniella inmamuri, Rotylenchus robustus, Helicotylenchu erythrinae, Meloidogyne arenaria, Discocriconemella hengsungica, Aphelenchoides besseyi 등으로 2아목 7과 11종이었다.
        4,000원
        26.
        197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32개군에서 125종의 농작물에서 식물 기생성 선충을 조사한 결과 9과 28속 42종을 발견하였다. 그중에 다음 8종은 우리나라 미기록 종이며 이미 발표된 종에 대해서는 특이할만한 형태적인 특징만을 언급하였다. Criconemoides morgensis(Hofmanner & Menzel, 1914). Crossonema(Crossonema) menzeli(stefanski, 1924) Metha & Raski, 1971. Macroposthonia ferniae (Luc, 1959) De Grisse & Loof, 1965. Macrobosthonia rustica (Micoletzky, 1915) De Grisse & Loof, 1965. Neolobocriconema aberrane(Jairajpuri & Siddiqi, 1964) Methat & Raski, 1971. Nothocriconema demani(Micoletzky, 1925) De Grisse & Loof, 1965. Rotylenchus pini Mamiya, 1968. Xenocriconemella macrodora(Taylor, 1936) De Grisse & Loof, 1965.
        4,900원
        27.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urvey the incid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187 soil samples from leguminous plant fields in Chungnam province, Korea were assessed from June to August 2018. As the result, four nematode genera ─ the cyst nematode (Heterodera spp.),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spp.),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spp.), spiral nematode (Helicotylenchus spp.) ─ were detected. Among them, the incidence of cyst nematode was the highest in Taean (73%) and lowest in Hongseong (10%). The cyst nematode was detected from the adzuki and kidney bean fields as well as soybean fields. The incidence of cyst nematode in upland fields was higher than in paddy fields. In addition, the extracted cyst nematodes consisted of two species, which was identified as Heterodera glycines and H. sojae. The incidence of H. glycines (22%) was higher than H. sojae (10%), and a few of the fields (5%) was mixed with two cyst nematodes. This result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that the cyst nematode is the major plantparasitic nematode when controlling the nematodes in soybean fields in Chungnam province.
        28.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urvey was conducted during April~May 2004 to determine the occurrence and population density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growing fields, in major ginseng growing regions of Chungbuk, Chungnam, Gyeongbuk and Kyongki provinces. The survey revealed presence of eleven species of plant-parasitic nematodes namely, Criconemoides morgensis, Ditylenchus destructor, Helicotylenchus dihystera, Meloidogyne incognita, M. hapla, Paratylencgus lepidus, Pratylenchus penetrans, Psilenchus hilarulus, Trichodorus similis, Tylenchorhynchus claytoni and Xiphinema americanum. Frequency and density of each species were highly variable. M. incognita and M. hapla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their infestation observed in 46.3 and 39.4% fields with an average density of 78~254 and 76~211 nematodes per 300 cm3 soil, respectively. Whereas, T. similis and X. americanum were rarely observed; only in 2.3 and 1.8% of surveyed fields and their density was 10~17 and 7~10 individuals per 300 cm3 soil, respectively. They are recorded herewith for the first time from ginseng fields of Korea. In nematode-infestated fields, stunted plant growth with chlorotic leaves, and wilted plants were observed in patches.
        29.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재배지에서 발생 빈도와 서식 밀도가 높은 식물기생선충을 파악하기 위하여 3개도 34개 지역 더덕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 검출된 식물기생선충은 Meloidogyne(뿌리 혹선충), Pratylenchus(뿌리썩이선충)등 10개 속(genus)이었는데, 그 중 뿌리혹선충은 97%의 포장에서 검출되었고, 검출된 평균 선충수도 1,700마리/토양 300ml 이상으로 대단히 높았다. 또 논 토양보다는 밭 토양에서 검출율이 높았고, 평균 밀도도 2,450마리로 10배정도 많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