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월악산국립 공원지역의 탐방로 주연부식생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요 탐방로 5개 구간에 조사구 39개를 설치하여 식생 구조를 조사하였다. 탐방로별 교목층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와 소나무, 굴참나무가 조사되었으며, 관목층의 주요 수종으로는 입지환경 요인이나 이용강도에 상관없이 동창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조록싸리로 나타났다. 5개 탐방로 구간 간 유사도지수는 41.65%~66.50%로 나타났다. 입지환경별 탐방로 주연부 수종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월악산국립공원 만수골 계곡부(해발 380~915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층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계곡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교목층의 밀도, 수고와 흉고단면적 은 감소하였다. 이것은 해발고가 증가함에 따라 환경 조건 중 특히 토양수분이 감소하기 때 문으로 추정되었다. 아교목층은 흉고단면적이 계곡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교목층의 흉고단면적이 적을수록 하층의 광조건이 좋아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계곡 하부에서 상부로 감에 따라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생강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소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등이었다. 계곡정부를 포함한 해발고대별 종다양도의 범위는 0.351~0.903이었으며, 계곡 정부는 출현종수, 종다양도, 균재도가 모두 낮았다. 사면부위별 종다양도는 0.780~1.064이었으며, 사면 하부에서 중, 상부로 갈수록 종수와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경 조건이 상이한 계곡 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36.0~67.3%, 사면부위간 유사도지 수는 66.8~75.1%로써 사면부위보다는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상대중요치에 의한 Cluster분석 결과 계곡하부의 사면 상, 중, 하부와 계곡 중부의 사면 중부에 위치하는 소나무-참나무류 군집, 계곡상부의 사면 상, 중, 하부와 계곡중부의 사면 상, 하부에 위치하는 신갈나무-낙엽 활엽수 군집, 계곡정부의 신갈나무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상대중요치에 의한 종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는 소나무, 졸참나무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소나무, 졸참나무, 개옻나무는 3개 수종간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다.
        4,000원
        2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월악산국립공원 에 덕 주사-영 봉-신륵사구간과 도락산-상선암구간의 산림 군집 구조 분석 을 실시하기 위해 22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classification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 용하여 군집 분리를 한 결과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물박달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당단풍군집의 6개 식물군집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산림 군집 구조분석 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졸참나무, 신갈나무로 천이진행 이 예상되었고, 아교목층에서는 철쭉꽃이 쇠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로 천이진행이 예측된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토지극상단계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2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덕주사-동창교 지 역 에 23개의 방형구(4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군집, 활엽수혼효림군집 등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은 신갈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신갈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 차 커질 것이라 판단된다. 고로쇠와 난티잎개암나무, 박달나무, 당단풍, 층층나무 ; 국수나무와 노린재나무, 조록싸리 ; 노린재나무와 물푸레나무, 당단풍, 조록싸리 ; 물푸레나무와 당단풍, 조록싸리 ; 굴참나무와 쇠물푸레 ; 난티잎개암나무와 철쭉 ; 당단풍과 조록싸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졸참나무와 박달나무 ;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 난티잎개암나무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 의 군집 별 종다양성도는 1.2393~1.3674의 범위로 다른 국립 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4,000원
        25.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46´~36°59´, 동경 128°02´~128°19´)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 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41회에 걸쳐 현 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6과 429속 717 종 4아종 78변종 16품종의 총 81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80분류군이었으며, 조사지역을 9개 대표 채집지 로 구분하여 채집지별 주요 식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월악 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2분류 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5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 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 당하는 56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월악산 국립공원 지역이 한반도 분포의 남한계인 식물로 청나래고사리, 갈기조 팝나무, 개미취 등이, 중심지인 식물로 자주족도리풀, 가는잎 향유, 선부추 등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4분류군이 조사 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