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21.
        199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calves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of in vitro matured follicular oocytes. Oocytes aspirated from small antral folicles of ovaries obtained at a local slaughter house were matured and fertilized in vitro. At l8hrs after insemination with Korean native cattle semen, oocytes were co-cultured for 6~7 days by utilizing co-culture system with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 After co-culture, good or excellent quality late morulae or early blastocysts were selected by morphological criteria under stereo microscope. Selected embryo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on day 6 or 7 (estrus = day 0). Recipients were monitored by observation for estrus and rectal palpation after 60 days from embryo transfer. One of them went to term with the birth of a calf. This case is the first production of calf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n Korea.
        4,000원
        22.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성선(性腺)자극호르몬과 우태아혈청(牛胎兒血淸) 첨가가 돼지 난포란(卵胞卵)의 체외성숙(體外成熟) 및 체외수정(體外受精)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경산돈(未經産豚)(체중 80~90kg)의 난소(卵巢)를 도살된 직후에 절취하여 의 보온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난포(卵胞)직경이 3~5mm되는 것만을 골라 난포(卵胞)를 찔러서 난포란(卵胞卵)을 채취하였다. 성숙모돈(成熟牡豚)(체중 130~150kg)의 정소상체미부정자(精巢上體尾部精子)를 농도로 희석하여 체외수정(體外受精)에 이용하였다. 본 실험의 경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KRB와 10% FCS를 m-KRB에 첨가한 경우 성숙율(成熟率)은 82.37%이며, 10% FCS가 첨가된 배양액에 PMSG, hCG 그리고 PMSG와 hCG를 각각 첨가한 경우 66, 58, 68%로서 성숙율(成熟率)이 향상되었다. 2. 난구세포(卵丘細胞)의 팽화(膨化)는 m-KRB와 10% FCS가 첨가된 배양액에서 일어나지 않았으나 10% FCS가 첨가된 배양액에 PMSG, hCG 그리고 PMSG와 hCG를 각각 첨가시 92, 13, 91%로서 팽화율(膨化率)이 향상되었다. 3. m-KRB에서 성숙된 난포란(卵胞卵)의 체외수정(體外受精)에서 정자침입율과 웅성전핵(雄性前核) 형성율은 각각 93.7%였으나 FCS와 성선(性腺)자극호르몬을 첨가한 경우 각각 100, 80%로서 웅성전핵(雄性前核) 형성율이 향상되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