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조선조 초기에 편찬한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二人稱代名詞中平稱詞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의 고문에서 사용된 二人稱平稱詞의 종류는 ‘汝’, ‘女’, ‘若’, ‘而’, ‘爾’, ‘乃’, ‘戎’ 등 7가지로 다양하다. 고려조에 발간된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서는 ‘汝’․‘爾’․‘若’․‘而’ 등 4 가지의 이인칭 평칭사가 두 책에서 동시에 수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조선조에 발간한 高麗史에는 고려시대에 사용되던 ‘而’가 사용되지 않고, ‘而‘와 통사적 특성이 동일한 ‘乃’가 새로 사용되었다. ‘汝’․‘爾’․‘若 등은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女’․‘而’․‘戎’ 등은 수용되지 않았다. 이들의 통사적 특성을 분석하면 중국의 고문에서 쓰인 용법과는 달리 쓰여진 면이 보이고, 또한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의 용법과 다른 점도 발견된다, 개개대명사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汝’는 중국의 문장에서와는 달리 修飾語와 被修飾語사이에 관형격 조사 ‘之’가 배합되는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중국의 고대 문장에서는 ‘汝’가 관형어로 잘 쓰이지 않는 현상이 특징이었으나 􋺷高麗史􋺸에서는 관형어로 쓰인 경우가 주어나 목적어로 쓰인 횟수와 대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若’은 모두 ‘若等’․‘若輩’․‘若曹’ 등의 복수의 형태를 취하여 문장의 主語와 冠形語로만 사용되었다. ‘爾’는 단독으로 쓰여 복수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 관형어로 쓰인 ‘爾’와 被修飾語사이에 ‘之’가 배합된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지시대명사로 쓰인 경우가 있는데 중국에서는 遠稱(彼), 근칭(此), 不定稱 (其)등으로 쓰였으나 高麗史에는 ‘近稱’과 ‘遠稱’으로 쓰였다. ‘乃’는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는 이인칭대명사로 사용되지 않았다, 高麗史에는 대명사로 사용되었는데, 모두 관형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에서 ‘乃’가 관형어로만 사용된 어법상의 특성이 조선조에 다시 수용되었다.
        6,300원
        26.
        199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27.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millennials continue to mature and enter the workforce, it is important that employers understand what this generation expects from all aspects of their employment and leadership preferences in order to prepare them to be the next millennials lead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generic attributes of the new millennial leaders in Malaysia. The survey is distributed among executives in the selected government-linked, multinational, and public-sector companies in Malaysia, with 237 (72%) of whom being millennials. Partial least square (PLS-SEM) via software SmartPLS 3.0 was applied to evaluate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ttributes of the millennials leader are innovative (0.213), inspiration (0.128), and visionary (0.122). Thus, organization can focus on those attributes in preparing the millennials for being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This study offers important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s well as practitioners, and highlights the leadership attributes that could help in enhancing millennials leadership. This study produces a new millennials leadership attributes model for millennials leaders in Malaysian companies; with millennials becoming the fastest-growing age groups in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will promote effective and efficient skills for the millennials.
        2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명 제조업체 브랜드는 유통업체 브랜드인 제네릭 브랜드의 등장으로 변화되는데, 제네릭 브랜드의 탄생과 진화의 핵심은 자본주의 시장원리에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제네릭 브랜드의 성격과 소비자의 선택원리를 이러한 경제적 효용원리로 모두 설명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적 실용주의와 노자적 실용주의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노자철학의 주요 키워드인 지족(知足), 허(虛), 무위(無爲)의 세 개념어를 중심으로 노브랜드와 무인양품 브랜드 간 나타나는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서구 실용주의적 철학의 배경을 가진 기존의 제네릭 브랜드들과 노브랜드의 광고에 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최고의 미덕인 최대 효율인 이익의 가치를 강조하지만, 무인양품 광고에서는 노자의 지족(知 足:Stops by itself and satisfaction)의 가치를 말하고 있다. 둘째, 노브랜드의 브랜드 네이밍에서는 소비자의 이익을 위한 브랜드로서 브랜드에 대한 거부를 얘기하지만, 무인양품의 네이밍은 물건이란 관념이 아닌 기능으로 존재한다는 허 (虛:Emptiness)의 개념을 말한다. 셋째, 노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은 캐나다의 노네임처럼 보편적이며 기능성을 추구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전범을 따르고 있지만, 무인양품의 패키지디자인에서는 디자인하지 않는 무위(無爲: Inactivity)적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29.
        2018.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ric medicine (GM), which is an alternative drug product for branded medicine (BM), is used less in Japan than in other OECD countries. Therefore, we investigate why the medical consumers of Japan avoid the use of GMs even though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medicines have already been proven. We theorize that effectiveness or risk of GMs are related to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GMs is affected by the behavioral approach/activation system (BAS) which promotes actions to reach the desired state, and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which suppresses behaviors to avoid negative outcomes. To see which of the BAS and BIS dimensions are related to GM usage, we surveyed 374 Japanese consumers and found that Quality, Efficacy, Safety, & Cost-effectiveness with the BAS, and Functional Risk, Financial Risk, Social Risk, Physical Risk, Psychological Risk, & Time Risk with the B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attitude to GMs. These results are important in that they 1), confirm the role of BAS/BIS in attitudes to GMs, 2), provide guidelines when marketing GMs, 3), help governments promote the use of GMs as a cost-saving measure, and 4), guide future surveys regarding consumer attitudes to GMs.
        30.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영과 디자인의 공통점은 이윤의 추구를 통한 기업의 성공에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디자인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업마다 좋은 디자인을 창출해 냈다고 해서 모든 기업들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전략 경영 연구의 본원은 기업의 성공의 원인을 밝혀내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세계적 경영학자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 교수는 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경쟁 우위를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원가 우위, 차별화 우위, 집중화 우위의 3가 지 본원적 경쟁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디자인경영 학자인 모조타(Mozota)교수는 이러한 전략의 선택에 따라 디자인 의 심미적 포지셔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각기 다른 경쟁 우위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유럽의 6개의 세계적 가구기업들의 제품들의 조사, 비교를 통해 디자인이 담고 있는 함축적 정보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3가 지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라 어떠한 디자인 전략을 구축해야 할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디자인이 포함하고 있는 함 축적 정보의 규명을 위하여 학부 및 대학원 생 72명이 설문평가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원가 우위 전략 기업들의 제 품의 경우 합리적이고 직관적이며 단순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더니즘(Modernism) 시대의 표준화된 디자인의 경향을 보이 며 이와 반대로 차별화 우위 전략의 기업들은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시대의 은유적이고 체험적이며 감성적인 디 자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업 내 세분화된 영역에서 집중화 우위 전략을 선택하고 있는 기업들은 모더니즘(Modernism)과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경향이 둘 다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원가 집중 화를 선택하느냐 차별화 집중화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는 3가지 본원적 경쟁 우위 전략에 따라 그에 맞는 디자인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기업이나 디자이너들이 디자인 경영 전략을 구 축하는데 있어서 참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31.
        201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mulated network protocol provides the capability of distributed simulation to a generic simulator. Through this, full coverage of management of data and service handling among separated simulators is achieved. The distributed simulation environment is much more conducive to handling simulation load balancing and hazard treatment than a standalone computer. According to the simulated network protocol, one simulator takes on the role of server and the other simulators take on the role of client, and client is controlled by server. The purpose of the simulated network protocol is to seamlessly connect multiple simulator instances into a single simulation environment.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simulated network (simNetwork) that provides the capability of distributed simulation to a generic simulator (GenSim), which is a software simulator of satellites that has been developed by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since 2010, to use as a flight software validation bench for future satellite developmen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