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산 국립공원의 도봉산지역에서 채집된 산림해충은 5목 29과 76종이었다. 이들 중에 나비목은 9과 24종, 딱정벌레목 9과 23종, 매미목 4과 20종, 노린재목 5과 6종, 벌목은 2과 3종으로 확인되었다. 송추 골이 5목 28과 66종, 회룡 골이 5목 19과 41종이었다. 중점관리해충으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암청색줄무니밤나방(Arcte coerulea), 참나무겨울가지나방(Erannis golda)이 확인되었고, 왕침노린재(Isyndus obscurus)이 포식성 천적으로 분류 되었다.
        4,000원
        22.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완전 변태류 곤충에 있어서 각유충기의 구분은 두폭에 의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분포의 특성이 정의되지 않는 재래적 방법으로는 객관성이 보장되지 못하며 때로 령기의 판정조차 어려울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 각 령기의 두폭분포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 "d/w"비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쌀바구미 유충의 두폭분포를 이 비를 이용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예는 다른 곤충의 경우에 있어서도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된다.
        3,000원
        23.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ndscape structure is important to understand a complex patterns and interaction with adjacent habitat in rural a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structure and insect spatial distribution in rural area to suggest applicable possibility of landscape structure as biological indicator. For this purpose, first, four landscape structure criteria such as distance from the forest; density of farmland-forest ecotone; landscape continuity; and field size are selected. Secondly, these criteria are applied to Gangsang-myeon, Yangpyeong-gun where mosaic feature are conserved at various spatial scale. Thirdly, application of landscape structure criteria is verified using correlation with species number,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of insect. As a result,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landscape structure criteria are useful for explaining insect spatial distributio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