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4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Mt. Wolchulsan. We also predicted the succession possibility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s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through the pioneer species of a forest change and dominant species of canopy vegetations. We also analyzed the Raunkiaer's life-form. The communities in this ecotone are distributed vertically in the order of a Quercus acuta community, a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a Q. serrata community.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ppears on the most of altitudes.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correlates highly with an altitude. The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will be succession to the Q. acuta community, and the Q. variabilis will be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or remain locally. The Q. serrata community will possibly maintain as it is, and the P. densiflora community will be also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The valuable quantitative and numerical life-forms are confirmed and the layer structure of present vegetation will not be changed.
        42.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distribution and growth pattern of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by the DCA ordination method in eastern coast of Korea. The number of plant species growth with G. littoralis in natural habitat was found 51 taxa, and species of high frequency among 51 taxa was Ixeris repens, Calystegia soldanella,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Lathyrus japonica and Zoysia macrostachya. Indicator species of Z. macrostachya, Linaria japonica, C. soldanella, I. repens, Carex pumila, Artemisia capillaris, Oenothera biennis, L. japonica and E. mollis in G. littoralis community was differential species of syntaxonomy. C. kobomugi, Z. macrostachya, E. mollis, Cynodon dactylon and L. japonica was the distribution in dryness sand and moisture sandyloam, I. repens, C. soldanella, L. japonica and C. pumila was the distribution in dryness sand. In coastal dune, I. repens, C. soldanella, Salsola komarovi and G. littoralis combined strength of the distribution, and sand of coast was typical of the habitat.
        43.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여 식물종의 분포 양상을 알림으로서 식물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일조하고자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96과 249속 293종 2아종 43변종 3품종 1재배종으로 총 342종류가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에는 나도개감채(보존우선순위; 169번)와 쥐방울덩굴(151번)이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에는 민땅비싸리, 산철쭉, 개나리(식재종), 병꽃나무, 개비자나무, 지리대사초, 은사시나무(식재종)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에는 V등급과 II등급에 해당하는 식물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IV등급에는 등나무가(식재종), III등급에는 나도개감채, 단풍나무가, I등급에는 개비자나무, 민바랭이새, 굴참나무, 참느릅나무, 송악, 쥐방울덩굴, 산돌배, 예덕나무, 물오리나무, 말오줌때, 동백나무(식재종), 거지덩굴, 장구밥나무, 정금나무, 큰엉겅퀴로 총 1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1과 26속 32종 2변종으로 총 3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42종류의 관속식물 중 9.9%로 분석되었다. 석불산 일대의 식물군락에는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식물들의 우점도와 군도를 조사한 후 종조성표를 작성하여 군락을 선정한 결과, 3개의 조사구는 소나무군락으로, 1개의 조사구는 곰솔군락으로 분류되었다.
        45.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도 돼지 풀 군락군(Ambrosia artemisiifolia val. elatior community group)의 현존 식생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된 식물상의 총 출현종수는 48과 156속, 200종 28변종 2품종(귀화식물 20과 54속 69종 3변종 포함)이 생육하고 있다. 제주도 돼지풀 (Ambrosia artemisitfolia var. elatior)군락군은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환삼덩굴- 왕고들빼기 군집(Lactuco indicae - Humuletum japonicae Okuda, 1978), 개보리 - 울산도깨비 바늘 군락(Bromus tectorum - Bidens pilose community Miyawaki, 1982), 강아지 풀- 왕바랭이 군락(Setaria viridis - Eleusine indica community Miyawaki, 1982 )으로 대별되었다. 돼지풀은 해안에서 해발 1,500미터 한라산 영실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돼지풀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345미터, 조천읍 선흘리 근처이며 ,가장 낮은 곳은 해발 1,020미터인 국립공원 서귀포시 영실, 근처이다.
        46.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도의 개민들레군락군(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에 대하여 식물 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조사지역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상은 47과 136속 171종 22변종 1품종 (귀화식 물 16과 47속 64종 3변종 포함)이 확인되었다. 2 제주도에 분포하는 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군락군은 식생학적으로 기 보고된 표징종에 의해서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갯강아지 풀 - 갯 잔디 군락(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s -Zoysia sinica community)으로 대별되었다. 3. 개민들레는 해안에서 해발 1,700m 윗세 오름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4. 개민들레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120m 서귀포시 서흥동 근처이며 , 가장 낮은 곳은 해발 2m인 남제주 성산리 해안지역이다. 5. 금번조사 중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벼과의 고사리새(Catapodium rigidium)가 발견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