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41.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교량 구조물에 대한 안전점검은 현재 까지도 수작업을 토대로 관리대장에 직접 기록하여 paper형태로 보관 하거나 관리대장을 컴퓨터로 전산화시켜 보관하는 과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자료의 신뢰성 저하, 비효율적 관리자료, 주관적인 평가로 인하여 교량 구조물에 대한 잠재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논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효율성, 경제성, 신뢰성,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첨단 IT기술인 NFC를 이용한 교량의 지능형 유지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객관적이며 정밀도를 향상 시킬 수 있고, 시스템의 단순화로 기존의 전문화된 인력만 사용할 수 있었던 개념을 탈피하여 누구나 간단한 교육만으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연구하였다.
        42.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ipwaves can have harmful effects on people who are using riverside and cause bank erosion, bank structures destruction in restricted waterways. The wave field near a vessel is consisted of a combination of a primary and secondary wave system in a shallow or restricted waterway. The water level depression(squat) and return current beside the hull are called the primary wave system. The secondary wave system, that is the wave height originates from a local disturbance point such as the bow of the ship.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ve field around a vessel in a restricted water in relation to navigation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The return current and squat with a correction factor can be newly evaluated and the almost same high-sized wave heights take place on the whole waterway in a restricted water without regard to the distance from the sailing line.
        44.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방류시스템을 계획할 때 우선목표는 방류수의 초기희석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류수와 주변수의 혼합현상, 특히 초기혼합영역인 근역에 대한 특성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최적의 방류시스템(outfall system) 구현을 위하여 근역(NFR)에서의 온배수 방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온배수(heat discharge)와 염배수(brine discharge)를 동시에 방류할 경우를 고려한 성과물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수와 염수를 동시에 고려한 방류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류수의 거동양상 특히, 근역에서의 혼합성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은 표면방류, 단일확산관 방류, 다공확산관 방류를 해당 해역의 법적 수질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면방류와 단일확산관 방류는 방류형식이 부적절하였고, 다공확산관의 경우도 기하학적인 형상에 따라 결과가 조금 상이하였다.
        45.
        200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mount of municipal water has been increased rapidly up to now and it is necessary to treat and dispose the wastewater effectively. The recent trend of the effluent disposal system, after treatment, show a nearshore discharge which has an outfall with length somewhere between the shoreline discharge and an extended deepwater outfall. There is no universal solution to municipal water treatment and disposal and each case must be examined on its merits and on economic, technical and environmental bases. In this study we focused mostly on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aspects of ocean disposal through the outfall. For this purpose, we made an investigation to the near-field characteristics of discharged water and made some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We also applied it to the Pusan Jungang Effluent Outfall System, which is planned to build in the Gamchun harbour and will be completed in 2011. The model output showed the trajectoral variation of dilution and mixing behavior for three cases of outfall system. Dilution differences have been simulated and found the highest dilution condition under the different displacement of outfall system. On the basis of these outputs it will be proposed the optimum outfall system type and locatio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