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41.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료 콩에서의 초기미생물 제어방법에 따른 효과와 살수온도조건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및 수율향상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재배시 초기 미생물 제어방안으로 실시된 열탕살균, 염소, 이온수, 오존수 등의 방법중 열수를 이용한 열탕살균법(1차 예열 40℃ , 2차 열탕 70℃ , 3차 냉각 20℃ 각 30초)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열탕살균법은 초기 발아율 향상과 생육기간중 미생물 억제효과가 양호하여 재배완료 후 부패감소(미생물 102 감소) 및 수율향상, 선도유지가 관행의 방법에 비해 2일정도 향상되었다. 2. 콩나물 재배수온에는 재배완료까지 동일수온(18.5 ± 0.5℃ )을 적용하는 방법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3-stage방법 등이 있다. 3-stage방법의 특징은 초기발아시간 단축(약 4시간정도)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즉, 2-3일차(침지시간 제외)에는 21± 1℃ , 4-5일차에는 18.5± 0.5℃ , 6-7일차에는 17.0± 0.5℃ 로. 재배수온을 달리하는 방법이며, 3-stage 방법을 적용하면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게 되고, 재배 중, 후기에는 생육을 제어하게 되어 규격품의 콩나물(길이 8-9cm, 두께 2.15-2.30mm)과 좋은 색택의 콩나물 생산이 가능하며 수율도 약 6%향상되었다
        4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생종의 콩나물 관련형질의 특성 및 주요성분을 재배종과 비교하여 야생종을 소립 나물콩 육성을 위한 교배친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종과 재배종의 콩나물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배축의 길이와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콩나물의 전체길이, 하배축 두께, 개체당 무게, 상품률에서는 재배종이 우수하였고, 잔뿌리의 수와 뿌리의 길이에서는 야생종이 작고 짧아 야정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조지방 및 sucrose함량은 재배종이,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종이 높았으며, 지방산중 oleic acid는 재배종이 linoleic acid는 야생종이 높았고, isoflavone함량에서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다. 17개의 아미노산 중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등 10개 아미노산은 모두 야생종에서 높았다. 3. 콩나물 하배축의 색차는 야생종에서 백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아 재배종보다는 야생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3.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 추출물로 재배한 콩나물의 무게와 길이변화 및 조단백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한약재중에서 콩나물 무게와 길이의 증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인삼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감초가 효과적이었다. 당귀와 천궁 추출물 은 대조구와 비슷하였고, 황련 추출물은 오히려 억제되었다. 인삼과 감초의 추출물 농도는 각각 200 ppm 및 100 ppm에서 콩나물 무게와 길이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인삼 추출물에서 콩나물의 무게는 대조구에 비하여 재배일
        44.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존수 처리콩나물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콩나물 재배 중 오존수 처리는 콩의 수침시와 주수시에 물을 사용한 것(W/W), 수침 시만 오존수를 처리한 것 (O/M), 주수 시에만 오존수를 처리한 것 (W/O), 수침시와 주수시에 각각 처리한 것(O/O)으로 나누어 각각 5일간 재배하였다. 저장은 콩나물을 0.01 mm polyethylene film 에 포장하여 1와 2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수명은 오존수 처리와 무처리간의 뚜렷한 차이를
        45.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acticality of utilizing chitosan as a natural antimicrobial compound to reduce soybean sprout rot was tested. Domestic and imported soybean seeds were soaked for 6 hours in solution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chitosan and acetic acid (glacial), and cultured at 25~circC for 6 days. In case of domestic seeds, soaking with 1,000ppm chitosan increased germination percentage, hypocotyl thickness, total length, and fresh weight of sprouts by 4%, 5%, 2%, and 1%, respectively. The total sprout yield was increased by chitosa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at 1,000ppm chitosan resulted in 8% increment of total yield (7.47kg sprouts/kg seed). Chitosan significantly reduced sprout rot percentage to 7.0% compared to control (13.8%), and consequently enhanced marketable sprout yield by 39%. Compared to domestic seeds, the imported soybean seeds exhibited very low germination percentage regardless of chitosan treatments. Chitosan, nevertheless, consistently induced yield increment and rot decrement in imported soybean sprouts. Although 100ppm acetic acid was effective in reducing sprout rot percentage down to 11.8%, its yield-increasing effects were not as prominent as chitosan. In conclusion, soaking soybean seeds with chitosan seems to be a practical metho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oybean sprout production
        46.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purpose of enhanceing soybean-sprouts quality, the optimum conditions for ozone treatment of soybean during soaking before cultivation at 18~2 were evaluated with ozone concentration, treatment time and treatment frequenc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Germination rates of cleaned soybean by ozone water in the conditions of solubilized-ozone concentrations of 0.15 to 0.35ppm, ozone-treatment frequency of 1.5 to 2.3 times and ozone-treatment time of 30 to 36min. increased 18.8 to 24.0% for the control products. And, length of hypocotyl in conditions of 0.12 to 0.33ppm, 1.7 to 2.7 times and 45 to 90min. were also increased by 69.36 to 79.40%. On the other hand, weight of roots with ozone treatment were decreased in the conditions of solubilized ozone concentrations of 0.1 to 0.2ppm and ozone-treatment time of 30 to 57min. But, ozone-treatment frequency did not affected root growth. Putrefaction rates of the control were 5 to 15%, but those of ozone-treated samples during cultivation did not show. The overall optimum conditions for above 16% germination rates, above 9% hypocotyl yields compared to the control samples and below 98% of the control root weight were solubilized-ozone concentrations of 0.25 to 0.30ppm, ozone-treatment time of 43 to 49min. and ozone-treatment frequency of one tim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