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1.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od development and cytokinin contents during reproductive stage of peanut, the cytokinin contents, trans-zeatin ribo-side (t-ZR) and dihydrozeatin riboside (diZR), were investigated at 0, 7, 14, 21 and 28 days after flowering (DAF). The amounts of t-ZR and diZR in cotyledon and first branch among primary branches were 3, 448 pmol/g (FW) and 4, 824 p/g (FW),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branches. The t-ZR and diZR contents of lower parts on the branch from cotyledon node at 7 DAF were 579 pmol/g (FW) and 2, 028 pmol/g (FW),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upper parts. The cytokinin contents of reproductive organs as flowering progressed were increased at 0 and 14 DAF on branch and position of node. The cytokinin contents of upper part with pruning the lower part on the branch from cotyledon node were high 112-337% at 7 DAF and 14 DAF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In case of remove the upper part of the first internode on main axis, t-ZR contents was 4.7 times higher than diZR contents at 7 DAF. The pod setting rate of flower and position on the branch from cotyledon node was closely related to the cytokinin contents during floral reproductive stage.
        42.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dogenous ABA and batatasins were first quantified in the stored tubers and bulbils of the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v. 'Tsukune' by GC-MS with comparison of internal standard, and sugar content was also analyzed by HPLC with comparison of external standard. Endogenous ABA content in stored tubers and bulbils was rapidly decreased as storage period prolonged. ABA content of the bulbils was always higher than that of tuber during storage periods. All batatasins of stored tubers and bulbils at 30 days after storage decreased steadily compared to 120 days after storage. On the contrary, batatasin-Ⅲ of the stored tuber and bulbils was only decreased at 60 days after storage. In Dioscorea opposita Thunb. cv. 'Tsukune' like D. japonica, D. alata, and D. bulbifera, may be controlled by endogenous batatasins and ABA, In these compounds, batatasins rather than ABA might be closely related to dormancy-inducing compound during dormancy of the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v. Tsukune.
        45.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선에서 젖의 생산은 뇌하수체 호르몬인 성장 호르몬과 프롤락틴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호르몬의 조절을 받는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 호르몬들 중에서 성장호르몬과 프롤락틴은 유선에서도 그 유전자 전사체가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선에서 발현되는 성장호르몬이 유선 특이 발현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유선 특이 발현 유전자인 베타-락토글로불린(-lactoglobulin :BLG)의 프로모터를 모델 시스템으로 하여 소와 사람의 성장 호르몬이 유
        46.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fine the relations between endogenous GA levels and growth and flowering in short-day plant sorghum, growth retardant BX-112 was applied to two sorghum genotypes, wild-type and phytochrome B mutant (phyB-1), which grows faster and flowers earlier than the wild-type. BX-112 and GA3 were applied as a soil drench, and plant height, culm length, and date to floral initiation were investigated. Endogenous GAs contents were measured with GC-MS-SIM. BX-112 treatments inhibited shoot growth in both genotypes and drastically reduced GA1 and GA8 levels. With increasing BX-112 concentrations, GA1 concentrations declined linearly, but caused the accumulation of intermediates from GA12 to GA20 . This result implies that GA1 is the major active endogenous GA in shoot elongation in a short day plant sorghum. The inhibition of plant growth in both of wild type and phyB-1 by BX-112 was very similar, while BX-112 effects on floral initiation in two types of plants differed significantly. Floral initiation of phyB-1 was not affected by BX-1l2, but that of wild-type was delayed as BX-1l2 concentration increased. Because BX-112 treatment causes accumulation of biosynthetic intermediates between synthetic pathway from GA12 to GA20 and because phyB-1 is altered in GA metabolism in this same region of the early C13-hydroxylation pathway, BX-112 may fail to block flowering of phyB-1.
        48.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 식물체(植物體)를 장일(長日) 및 단일(短日) 조건(條件)으로 일장처리(日長處理)한 각각의 잎으로부터 분리(分離) 정제(精製)한 추출물(抽出物)을 microtuber test로 검정(檢定)하였다. 1. 단일처리(短日處理) 잎에서 얻어진 추출액(抽出液)의 산성(酸性)충과 중성(中性)충의 추출물(抽出物)은 소괴경(小塊莖)의 비대생장(肥大生長)을 촉진(促進)하는 강(强)한 활성(活性)이 인정(認定)되었다. 그리나 장일처리(長日處理) 잎에서는 추출물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산성층(酸性層)의 추출물(抽出物)을 활성탄(活性炭) 흡착(吸着) column 으로 정제(精製)하여 각농도의 활성(活性)을 생물검정(生物檢定) (microtuber test)한 결과(結果) 40% 에탈올 용출구의 추출물에서 가장 큰 촉진활성(促進活性)이 나타났다. 3. 포장(圃場)에서 재배(栽培)중인 식물(植物)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잎을 채취(採取)하여 추출물(抽出物의 활성(活性) 변화(變化)를 검정(檢定)했을 때 괴경(塊莖)의 생장(生長)이 정체(停滯)해 있는 시기(時期)(9월 상순)까지는 활성(活性)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9월 중순 이후 활성(活性)이 나타나 10월 상순에는 강한 활성(活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이 활성(活性)의 변화(變化)는 괴경(塊莖)의 비대생장(肥大生長) 패턴과 거의 일치(一致)했다. 4. 단일처리(短日處理)한 일에서 얻어진 산성층(酸性層)의 추출물(抽出物)에 다량(多量)의 JA산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 잎 1kg에 포함된 JA산의 양(量)은 290μg/kg으로 추정(推定)되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마 괴경(塊莖)의 비대생장(肥大生長)은 단일조건하(單一條件下)의 엽(葉)에 형성(形成)되어진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에 의해 기인(起因)될 가능성(可能性)이 큰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49.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등숙기간중 벼의 탄소동화율과 기공전도도 그리고 수용성 탄수화물농도의 내생리듬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연상태의 광주기 조건에서 재배된 벼를 일정한 환경조건으로 옮긴 다음 지엽을 대상으로 이들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자연상태의 광조건에서 성장한 벼의 탄소동화율은 약 24시간을 1주기로 하여 일정한 진폭으로 변화되었으며, 정오에 최고에 달하고 한밤중에 최저에 이르나 72시간이 경화할 때 쯤 변화의 폭은 점차적으로 줄어 들어 120시에는 최고, 최저에 도달하는 시각이 바뀌어 정오에 최저에 달하고 한밤중에 최고에 이르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반응은 기공전도도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이들 관계는 매우 밀접함을 보였다. 반면, 개화 후 14일 동안 낮과 밤 모두 일정한 광조건에서 성장한 벼의 탄소동화도율과 기공전도도의 반응은 전자와 같이 주기적인 폭의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잎내의 수용성 탄수화물 농도의 변화 또한 탄소동화율과 기공전도도의 변화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탄소동화율과 기공전도도 그리고 수용성 탄수화물의 내생림듬은 작물에 부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또한 이들은 광주기(photoperiod)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광주기가 탄소동화작용 및 수용성 탄수화물 형성에 중요한 조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