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41.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주맥 사천 006는 두산농산(주) 맥주맥 시험장에서 1970년 내한.조열.양질.다수성을 육종 목표로 하루삔 2조와 북대 002를 교잡한 후 선발.고정된 1계통에 1978년 사천 006의 계통명을 부여하고 1978~'79년까지 지방적응 연락시험을 실시한 결과 조열.양질.다수성인 품종으로 인정되여 1979년 종자 심의에서 경상 전남 및 제주도의 맥주맥 장려품종으로 결정하였는데 그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내한성은 향맥 및 골덴메론보다 다소 강한 편이었다. 2. 출수기는 향맥보다 3일, 골덴메론보다 8일 이 각각 빨랐고, 성숙기는 향맥보다 4일 골덴메론보다 7일 이 각각 빠른 조숙종이다. 3. 간장은 향맥에 비하여 6cm 골덴메론에 비하여 18cm가 각각 짧은 중간종이며 도복은 향맥 및 골덴메론보다 다소 강한 편이었다. 4. m2당 수수는 향맥보다 10본, 골덴메론보다 72본이 각각 많은 수수형 품종이다. 5. 수량은 전 지역에서 증수되었고 향맥에 대비하여 해남에서는 29%, 목포, 광산, 진주에서 각각, 공히 12% 증수로 전 지역에서 평균 15%가 증수되는 품종이다. 6. 양조용 품종에서 향맥 및 골덴메론에 비하여 맥아 수량률은 높고 조단백질과 전질소 및 가용성 질소는 낮으며 Extract 수량이 매우 높은 고전분 저단백 품종으로 극히 양질의 양조 적품종이다.
        42.
        197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산농산(주) 사천 사업소에서늘 조숙, 내습, 양질, 다수성을 육종목표로 성성 17호 piroline의 교잡으로 후대에서 사천 002를 선발하여 시험한 결과, 양질 다수성인 품종으로 인정되어 1978년 종자 심의회에서 두산 78001로 명명하여 장려품종으로 등록하였는데 그 특성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수기는 골델메론보다는 5일이 빠르고 향맥과는 비슷하며, 성숙기는 향맥과는 대차 없으나 골델메론보다는 3일 조숙이다. 2) 간장은 향맥에 비하여 5cm, 골덴메론에 비하여 7cm 작은 중간종이며 도복은 골델메론보다는 강하고 향맥과는 대동소이하다. 3)m2 당 수수는 향맥과 골덴메론보다 훨씬 많은 수수형 품종이었다. 4) 수량은 전작이나 답리작에서 제주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증수하는 적응성 품종이었다. 5) 양조용 품질은 향맥 및 골덴메론보다는 월등히 우수하다.
        43.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주맥의 육종에 있어서 곡립형질의 효율적인 선발자료를 얻고자 2조대맥 10품종을 공시하여 곡립형질의 유전력, 유전적 획득량, 상관관계, 경로계수등을 통계 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곡립형질들 중에서 곡피 (H=0.886), 분상질(H=0.848), 곡립형성비수(H=0.823)등은 유전력이 높고, 수량(H=0.526), 곡립폭(H=0.420)등은 유전역이 비교적 낮았다. 2. 기특되는 선발효율은 곡피(52.7%), 분상질(31.8%), 선입률(23.0%), 등이 높고, 곡립장(6.2%), 곡립폭(3.7%), 곡립후(8.7%) 등이 낮았다. 3. 맥주의 품질을 위하여 선발의 대상이되는 실용형질중 천립중, 분상질 Protein간의 상관관계는 다소유의성이 있었으나 곡립형질과 수량간의 상관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 4. 천립중, 곡피 및 수량의 선발은 이들에 대하여 직접효과가 큰 곡립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선발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보였다. 5. 분상질 및 Protein을 위한 선발은 곡립후, 곡피 등과 수량간의 부의 간접효과를 개선하고 수량의 직접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