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61.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기의 개화, 결실 및 수분양식을 구명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기별 개화.결실 특성 및 수분방법별 결실율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황기의 개화는 원줄기의 20-22절위에서 첫 꽃이 피기 시작하여 분지 발생순으로 개화되며 7월 중.하순경에 개화하기 시작하적 10월 중.하순까지 계속 관화되는 무한화서이다. 2. 개화시기별로는 9월 상순에 개화한 화경수가 가장 많아 꼬투리 및 종실 수도 9월 상순에 개화한 화경에서 가장 많은 경향이었다. 3. 소화가 착생되는 부위의 길이는 6.6-7.3cm, 소화수는 화경당 13-17화, 착협률은 30-45%, 협당 종실수는 4.8-5.3위 정도였다. 4. 꼬투리는 수분 후 30일 경에 길이가 3.8cm로 최대에 달하며, 폭은 8mm정도이고 종실수는 7.3개정도 형성되었다. 5. 황기 꽃의 수분양식은 봉지 씌우기로 자가 수정시키는 경우 거의 결실되지 않았고, 인공수분에 의한 결실율은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는 5%이하였으나 9월 상순 이후부터는 13%이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며 타가수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2.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ptivity of corn silk to pollen decreases with time. For effective pollination,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receptivity of corn silks in relation to time elapsed after their emergence. Two commercial corn hybrids, 'Kwanganog' and 'Suwon 19', were tested for their silk growth and effects of delayed pollination on kernel development for 1 to 13 days after emergence of the first silk. Silks elongated rapidly for the first 3 day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Silks grew more than 30mm per day for the first 3 days and stopped growing on the 11 or 12th day after emergence of the first silk. Filled ear length decreased slowly for the first 8 days, and then decreased rapidly.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for number of kernel rows and number of kernels per row or ear. The highest numbers of kernels per row or ear were observed when plants were pollinated 2-4 days after silking. These numbers decreased gradually up to 8 days, and then decreased sharp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8 day-delayed pollination has no influence on kernel developmen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ilk length and ear characteristics except kernel weight. Silk growth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lled ear length, row number, and kernel number. It might be assumed that delayed pollination by one week after the first silk emerged would not affect on kernel set
        64.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호의 개화습성 및 수정양식을 파악하여 육종의 기초자료로 이 음하고자 본 실험 을 수행하였다. 지경발달에 있어서 추정된 1차지경의 총수는 106.6개였고, 2차지경까지 발달하여 개화되었을 때 총 소화수의 이론치는 9,622개였다. 지경순위별 화기의 크기 정도는 산경, 소산경, 화판, 자예, 웅예, 자방표면, 소화악의 크기 모두 주경 〉 1차지경 〉 2차지경의 순으로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 지경의 발달이 진전될수록 소화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경전개별과 동일 지경내 화총 등의 개화시기는 뚜렷이 구분되었다. 소화, 소화총, 화총을 각각 망사 및 유산지로 피봉시켜 본 결과 결실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품매보다는 충매에 의한 방법으로 수정하는 타식성 식물로 인정되었으나, 식물체 전체를 망사로 씌웠을 때는 일부결실이 이루어져 부분자식성작물로 판단되었다. 화기 성숙단계별 수분능력은 자예성숙기인 8일 이후부터 결실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11~13일에 결실율이 높게 나타났다.
        65.
        199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every reciprocal crosses of self pollination, interspecific pollination through ordinary stigma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and L. × elegans, pollen vigorously germinated in stigma, and pollen tube was growing. But, 5 days after pollination, pollen tube stopping their growth in the same style as was observed in the cross of self pollination and interspecific pollination. Intrastylar pollination of L. × elegans and L. longiflorum passed stylar cannal through the basal part of styles. But, pollen tube that was growing to the ovule of the ovary was extremely small. In morphogical observation of ovary 10 days after pollination, it was observed, that every reciprocal crosses of L. longiflorum × L. × elegans was fertilized through intrastylar pollination, so that this technique was used to overcome cross incompatibilities.lities.
        66.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stuca속의 토올페스큐와 메도우페스큐, 그리고 Lolium속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들 간에 종속간 잡종을 얻기 위하여 기내수분과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들 작물들의 자방과 화분을 채취하여 소독을 하고 주두수분, 주두제거 수분, 배주수분의 3가지 방법으로 기내수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배발육상태를 MS, N6 , White's의 배지종류와 IAA Kinetln, BA의 생장조절물질의 처리로서 비교하였다. 1. 토올페스큐, 메도우페스큐,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상호 조합간 기내수분에서 44~92%의 수정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주두수분은 평균 67.8% 주두제거 수분은 평균 89%의 수정율을 보였으나 배주수분은 평균 61 %로 낮았다. 2. 화본과 수정배주에서 배발육을 촉진하는데는 White's 배지가 가장 효율적이었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처리는 IAA(10mg/ )와 Kinetin(0.2 mg/ )의 혼합처리가 무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나 발아율은 극히 저조하였다 3. 기내배양으로 성숙 배주의 배부조직에서 유관책의 형성과 시원체조직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주 내부에 후막세포들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