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81.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봄철 건물이용초지에서 이른 봄 추비처용시기가 목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추비시비시기를 3월 10일, 20일, 30일, 4월 9일, 19일 및 무시비(대조구) 등 6처리를 두고 1차 수확은 출추초기(1989년 5월 9일)에, 2차 이후는 각각 지예적기에 수확하였다. 추비시용구의 목초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는 무시비구에 비해 크게 양호하였으며, 이른 봄 추포시용시기에 따른 목초의 생육, 수량, 조필자질함량, 초필
        4,000원
        8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harvesting stage on nutritive value and the quality of ensiled kenaf after fermentation among six kenaf cultivars. Six kenaf cultivars including two different maturity groups, mid-late maturing (Auxu, Jangdae and Jinju) and early-maturing (Baekma, Jeokbong and C14), were planted on May 14, 2013. Four harvesting times were made at intervals of 20 days from 15 July to 16 September, 2013. In all cultivars, the CP (crude protein) contents were decreased by a delayed harvest; the CP contents of kenaf silage were ranged from 92 to 184 g kg-1. Interesting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DF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between the cultivars, however NDF and ADF content of kenaf sila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 late harvest. The silages of all cultivars displayed a low pH ranges less than 4.0, which is sufficient for stable storage. The lactic acid contents in Auxu were from 2.57 to 3.21%, which is higher than other cultivars. The harvesting stages did not affect to the concentrations of butyric acid and acetic acid in all cultiva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rvesting stage is more important for the quality of kenaf silage than cultivar differences. And kenaf silage could be also used as fodder for ruminants.
        83.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ttle culm벼의 예취높이를 구명하여 조사요로서의 수량 및 영양가를 평가하고자 섬진벼 및 Brittle culm인 KL501 품종을 공시하고 예취높이를 지상 0, 5, 10 및 20cm 달리하여 1996년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생초장, 경직경 및 재생경율은 예취높이를 높게 할수록 크고 높았으며 분얼경수는 품종 및 예취높이간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조단백질, 조지방 및 NFE 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나 조섬유 및 조회분함량은 이와 반대의 경향이며 2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조단백질 및 조지방함량은 감소하고 조섬유 및 조회분함량은 증가하였으나 NFE 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청예수량 예취높이 10cm가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는데 섬진벼는 4.45ton /ha, KL501은 4.71ton /ha이며 건물수량은 섬진벼가 1.16 ton /ha, KL501이 1.14 ton /ha이었다. 4. TDN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높이가 높을수록 증가하나 2차 예취시는 이와 반대의 경향이며 TDN수량은 예취높이 10cm, 예취시 섬진벼는 0.63ton /ha, KL501은 0.61ton /ha로 다른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