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實驗은 Vernal알팔파의 callus 誘導에 미치는 몇가지 要因들에 對하여 糾明하고자 逐行되었으며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誘導에서 auxin 源으로서 2,4-D를 2-5mg/1 單用處理한 것이 가장 좋았으며, 여러가지 基本 培地 中에서는 B5와 SH가 callus 誘導에 가장 效果的이었는데, PC와 MS 培地에서 生成된 callus는 friable 하였다. 培地#의 pH는 5.8이 가장 좋았으며 7.0 以上에서는 callus는 거의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y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 change of vegetation and the yield of dry matter on the different mixture combination of permanent pasture. 1. DM yield was increased as the increas
This experiment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hoot and root system in perennial ryegrass at different stages of growth.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ry weight of shoo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ry weight of root at
본 시험은 草地造成時 3要素 施肥水準(標準施肥R 區와 3要素 無施肥區 등 13처리)이 목초의 월동, 이른 봄 생육과 수량 둥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하고자 水原 畜塵試驗場 草地試驗團에서 1987년 9월 3일 orchardgrass를 單播하여 1988년 6월까지 수행 하였다. 목초의 월동율은 대체로 標準肥뻐(80-200-70kg/ha) 이상의 질소시비구에서 90% 내외로 높았으며, 질소 및 3요소 무시비구에서는 각각 76%와 64% 로 낮았고, 목초의 월동에
본 시험은 봄철 건물이용초지에서 이른 봄 추비처용시기가 목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추비시비시기를 3월 10일, 20일, 30일, 4월 9일, 19일 및 무시비(대조구) 등 6처리를 두고 1차 수확은 출추초기(1989년 5월 9일)에, 2차 이후는 각각 지예적기에 수확하였다. 추비시용구의 목초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는 무시비구에 비해 크게 양호하였으며, 이른 봄 추포시용시기에 따른 목초의 생육, 수량, 조필자질함량, 초필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rst harvesting times and regrowth periods after the fist harvest on grass regrowth, dry matter (DM)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pasture mixtures during 1987 and 1988. For the tes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individual difference of chewing speed and chews per bolus duing the rumination using twenty three heads of grazing cattle and thirty six heads of barn feeding cattle. Rumination behaviour was measured and recorde
草地生態系에 있어서 칼리(K)動態에 關한 연구의 한 部分으로서, 草地士壞으로 부터의 칼리성분의 溶脫을 알아보기 위해 두가지 實驗을 수행했는데, 하나는 오차드그라스 採훨地의 토양증별 置換性칼리의 수직분포를 조사했으며 다른 한가지는 라이시메터를 이용하여 초지토양으로 부터의 칼리溶脫을 1년간 조사했다... 오차드그라tm 최초지안에서 土層間의 置換性칼리 함량의 차는 칼리 無施用區에서는 아주 작았으나 칼리 多施用區에서는 그 차이가 顯著했다(實驗 1). 라이시에터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main pathogen infected with sheath blight in corn plant during 1986-1987. The main fungi of sheath blight isolated from corn plant was identified as Rhizoctonia sobni. Sheath blight in corn plant was first
사초용유채의 품종선별선급실험과 유채용유채와 사초용유채품종들 간에 있어서 생산성과 영양가치를 비교한 실험에서 사초용유채 도인품종중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품종으로 Velox가 사초생산성 및 영양가치면에서 가장 유망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Velox를 공시하여 고립적배와 실행群落培 사이에 생산성과 영양가치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생육과정중의 영양가치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당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