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초지개량시험(草地改良試驗)의 일환으로서 ha당 2.9kga,i의 Glyphosate를 철포(撤布)한 후(後)에 선점관목(先占灌木)을 그대로 방치한 것과 또 살포후 관목을 10, 20, 30, 40일 간격으로 예취제거(刈取除去)하였을 때 이러한 처리가 겉뿌림한 오차드그라스 및 라디노클로버 유식물(幼植物)의 정착(定着)과 생육(生育)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究明)하기 위
우리나라에서 널리 이용(利用), 재배(栽培)되고 있는 옥수수와 도입(導入) 옥수수의 silage재료(材料)로서의 생산성(生産性)과 영양적(營養的) 가치(價値)를 구명(究明)하고자 품질별(品質別) 특성(特性) 및 생산성(生産性)과 TDN 함량(含量) 및 생산량(生産量)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여 평가(平價)한 바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원19호는 초장(草長) 및 간장(稈長)에서 각각(各各) 290.0cm, 258.5cm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호맥(胡麥)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생초(生草) 및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 부위별(部位別) 생산량(生産量) 및 이들 시기별(時期別)로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생산량(生産量)을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수잉기(穗孕期),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호숙기(糊熟期) 및 황숙기(黃熟期)의 5단계로 나누어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생초수량(生草收量)은 호숙기(糊熟期)가 가장 많았으며(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and seasonal changes on the productivity of the native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ius) on the reclaimed tidal flate in Chonnam province.
사일리지 옥수수의 적정(滴定)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과 재식밀도(栽植密度)를 알아보고자 1981년(年) 부터 1982년(年) 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포(飼料圃)에서 단교잡종(單交雜種) 수원(水原) 19호(號)를 가지고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하면 웅수출현기(雄穗出現期)와 간장(稈長)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착수고(着穗高)는 다소 낮아지고 경(莖)의 직경(直徑)은 굵어지며 엽면적지수(葉
본시험(本試驗)은 sudangrass의 Piper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고 질소수준(窒素水準)을 20, 30 및 40kg/10a으로 하여 난괴법(亂魁法) 4반복(反復)으로 1984년(年)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작물시험포(飼料作物試驗圃)에서 실시(實施)하였다. Sudangrass에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병원균(病原菌)을 분잡(分雜) 동정(同定)하고 이중 매문병(煤紋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양적(量的) 및 질적손실(質的損失)을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