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8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structural performances of prestressed composite beam with steel pipe sleeves was verified. Steel pipe sleeves in the composite beam provide the convenience of piping and facility plans. To evaluate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composite beam, analy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our test specimens has progressed.
        82.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omposite structural system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structure is a structural system that ha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structural systems.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attention for composite structures, the researches for the composite structures are more carried out. The composite beam us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f pre-cast concrete, cast-in-place concrete, T-type steel, and reinforcing bars. The steels are only used in each ends of the beam. In this study, the reasonable steels length at the ends of the beam is analyzed by structural performance analysis for changing in the length of the steel.
        8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조물에서 커플링보의 위치는 코어 중심부와 코어 가장자리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커플링보의 연구에서 코어 가장자리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어 가장자리부의 SRC 커플링보 설치 방법에는 벽체에 철골기둥을 설치하는 경우와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철골기둥의 설치 이유는 커플링보가 양단에 모멘트 접합으로 충분한 강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시공시 SRC 커플링보의 벽체 고정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플렛 플레이트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커플링보는 정확한 구조 성능 분석과 경제성을 위해 슬래브 강성 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플렛 플레이트 구조물의 슬래브 강성을 고려한 코어 가장자리에 놓인 SRC 커플링보의 철골기둥 영향에 대한 거동 및 구조 성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84.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합성 절곡 바닥판 중에서 I형강으로 보강된 강합성 절곡 바닥판은 절곡바닥판내에 I형강을 매입시켜 기존의 현장타설 RC바닥판보다 경량화되고 시공성을 향상시킨 바닥판이다. 현재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유효휨강성에 대한 계산은 도로교설계기준 및 ACI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설계기준 및 ACI에서 제안된 유효휨강성에 대한 산정 방법을 Ι형강으로 보강된 강합성 절곡 바닥판에 적용하여 그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 철근콘크리트 바닥판과 비교를 하였다. 또한 실험변수로써 스터드의 유무, 지간의 변화, 단면의 형태, 부재연결방법에 걸쳐 4가지 변수를 두고 총 15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제의 휨강성과 ACI에서 제안된 식에 의해 계산된 유효휨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85.
        200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로 이루어진 내부 접합부의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RCS 접합부의 공칭전단강도는 철골웨브와 콘크리트의 전단저항 합으로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RCS 접합부의 콘크리트 전단강도 계산에 사용되었던 압축장 이론의 단점을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압축스트러트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적합성을 기존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실험결과와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실시해 본 결과, 실험결과와 계산값이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6.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2경간 연속 강합성보의 내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긴장재를 정모멘트 구간의 강주형 하부에 설치하였다. 이 방법은 정모멘트 뿐만 아니라 부모멘트도 감소시킬 수 있다. 강합성보를 긴장재로 보강함으로써 내하율 식에서 목표 내하율을 만족시키기 위한 긴장재 개수와 초기 긴장력의 결정방법을 기술하였다. 본 방법을 실교량의 강합성보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87.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원통형 정착구를 사용하고 외부 긴장재로 보강된 강 I형 보의 극한거동을 실험을 통하여, 초기 긴장력, 편심거리, 강연선의 개수 및 단면적의 변수에 대한 보강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초기 긴장력 보다 강연선의 개수, 단면적, 편심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보강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원통형 정착 시스템은 이러한 변수를 적용함에 있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로 원통형 정착 시스템이 강주형의 보강에 효율적이고 적용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