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4

        141.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국산 Anarsia속을 분류동정한 결과 8종의 신종과 6 미기록종 등 14종이 확인되었으며, 8종의 신종은 spatulatana sp. nov., paraisogona sp. nov., ovula sp. nov., chiangmaiensis sp. nov., procera sp. nov., conica sp. nov., meiosis sp. nov., and lewvanichae sp. nov.등으로 명명되었다. 금번의 연구대항 표본들은 대부분이 최근(1988~1994) 태국에서 채집, 대영박물관(The Natural History Museum)에 보관되어 있는 표본들이며, 일부는 필자에 의해(1990) 채집되었던 표본들이 포함되었다. 신종들의 기재와 함께 14종으 숫컷생식기에 의한 검색표와 전종에 대한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500원
        142.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중부와 동부에서만 기록되어 있던 Sineugraphe stolidoprocta Boursin (중국쌍검은밤나방 신칭)이 우리나라에서 새로이 발견되었기에 보고한다. 이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Sineugaph2속 은 4종이 되며, 이들 4종의 생식기특징을 도해하고, 국내외 분포 및 형태적 특징을 논하였다.
        4,300원
        143.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 국립공원의 곤충상(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을 밝히기 위해, 오대산 국립공원의 동피골야영장과 동대산 및 상원사지역에서 1995년 6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노린재목이 4과 15종, 딱정벌레목이 20과 40종, 나비목이 11과 42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이 중 노린재목 12종, 딱정벌레목 21종, 나비목 22종은 오대산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이었으며, 금번조사 결과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밝혀진 오대산 지역의 노린재류는 8과 36종, 딱정벌레류는 26과 97종, 나비목은 31과 274종이 된다. 이번 조사결과와 문헌조사를 토대로 오대산지역의 노린재류, 딱정벌레류, 나비류의 종목록을 작성하였다.
        4,900원
        144.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기술연구소, 임업연구원, 강원대학교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 경상대학교 생물과에 소장된 밤나방과 표본을 공정한 결과 확인된 "Quadrifinaee" (Euteliinae, Sarrothripinae, Chloephorinae, Plusiinae, Catocalinae, Ophiderinae, Hypenodinae, Rivulinae and Hypeninae)에 속하는 한국 미기록종을 24종을 보고한다. 이중 12종은 일본에서만 기록이 있우나, 아시아 내륙에서는 처음 기록된다.
        4,000원
        145.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기술연구소, 임업연구원, 강원대학교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 경상대학교 생물과에 소장된 밤나방과 표본을 공정한 결과 확인된 "Trifinae" (Acronictinae, Noctuinae, Heliothinae, Hadeninas, Cuculliina and Amphipyrinae)에 속하는 59종의 한국 미기록종을 보고한다. 이중 12종은 일본에서만 기록이 있을뿐 아시아 내륙에서는 처음 기록되는 종들이다. 또한 Brithys crini, Apamea hampsoni, Kumasia kumaso, Callopistria japonobia 등 4종은 현재까지 제주도에서만 분포가 알려지는 종들이며, Euxoa lidia, Spaolotis deplorata, Xestia (Anomogyana) albuncula, Lacanobia dentata, Apamea rubrirena, Psudocosmia maculata 등 6종은 북한지역에서만 채집된 종들이다.
        5,800원
        146.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Dichomeris속은 18종으로 정리되며 각 종의 외부형태, 분포 및 생활사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 보고한다. 이중 7종을 신종으로 기재하며, 3종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미기록종들이었다. 신종으로 기재되는 7종은 lespedezae Park, mitteri Park, strictella Park, polystigma Park, fareasta Park, cuspis Park, minutia Park 등이며 한국미기록종은 quercicola Meyrick, horoglypta Meyrick, litoxyla Meyrick 등 3종이었다. 금번연구를 통해 MNHN에 소장되어 있는 모식표본을 기준으로 D. harmonias Meyrick의 신모식표본(lectotype)을 지정하였다. 또한 각 종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으며 새로이 보고되는 종들의 암수생식기를 각각 도해하였다.
        6,300원
        147.
        199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헝가리국립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산 표본과 최근 남한지역에서 채집된 밤나방류 표본들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700여종이 밝혀졌다. 이들 중 10종이 한반도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들이므로 이들의 초기재 문헌과 함게 채집지들을 정리, 보고한다.
        5,800원
        148.
        199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 북한 각 지역으로 부터 채집된 재료를 대상으로 비교검토한 결과 박각시과의 1신아종 Ambulyx japonica koreana subsp. nov.을 기재발표한다.
        3,000원
        149.
        199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뿔나방과의 Hypatima속과 그 근연속들을 정리한 결과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종으로 총 16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그중 6종이 신종, 8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롤 밝혀졌다. 신종으로 기재되는 6 종은 Hypatima속의 obscurella sp. nov., claviformis sp. novo 등 2종과 Faristenia속의 nigriella sp. nov., atrimaculata sp. nov. jumbongae sp. nov 등 3종, 그리고 Tornodoxa속의 longiella sp. nov 등이다. 이들 신종들과 8종의 미기록종, 이미 알려진 2종에 대한 외부형태 및 생석기의 도해와 함께 속과 종의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6,300원
        150.
        199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수년동안 북한지역에서의 곤충조사를 통하여 백두산, 묘향산, 용악산, 박연산, 금강산등 주요 5개 지역에 대해 지역별 식물분포와 나비목곤충의 생물지리학적 분포관계를 분석함과 동시에 51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을 보고한다.
        6,600원
        151.
        199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70년 이래 헝가리자연사전문관의 북한지역 탐사를 통해 채집보관된 표본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북한산 잎말이나방과 총 26종이 분류.동정되었다. 그중 갈색잎말이, 솔잎말이, 매실애기잎말이, 팥나방, 흰갈퀴잎말이등 5종을 제외한 21종은 북한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들이다.
        4,000원
        152.
        199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남한에서 채집된 표본과 폴랜드의 동물계통분류진화연구소에 보관된 북한산 표본을 대상으로 분류.동정한 결과, 한국산 무늬잎말이나방족은 총 39종으로 정리된다. 이중 북한산 2종이 신종으로 새로이 기록되며 11종의 미기록종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다.
        4,600원
        153.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Olethreutestes속을 아속 단위로 구분정리하였으며, 작은 왕무늬애기잎말이 [Olethreutes subtilana(Falkovitsh0], 노랑띠애기잎말이 [O. aurofasciana(Haworth)]과 작은광택애기잎말이 [O.moderata Falkovitsh]등 3종의 우리나라 미기록종을 포함한 16종에 대하여 동종이명(Synonym), 채집지, 성충의 발생시기 및 국내에서 밝혀진 기주식물 등을 조사정리하였다. 처음으로 조사된 기주식물로는 들깨가 노랑무늬애기잎말이의 기주로 밝혀졌다. 동정이 완료된 거의 모든 종의 자.웅생식기를 도해하여 종의 분류동정에 이용 가능토록 하였다. 총 밝혀진 16종 중 13종은 극동아세아지여에만 분포하고 있는 종이었으며 뽕흰애기잎말이와 우수리애기잎말이 등 2종을 제외한 전종이 우리날와 일본의 공통종이었다.
        4,500원
        154.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onserve the population of a hesperiid butterfly, Leptalina unicolor, inhabiting the protected areas of Jaeyaksan, we provide ecological information on their behavior and propose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such as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based on comprehensive information. The behavioral study used a method of re-capture after releasing the butterfly with enamel marks on the wings. Adult behaviors were shown in four patterns: flying, settling on a plant, nectar absorption, and water absorption. Both males and femal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overall; however, males had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As for duration, females spent more time settling on plants to select spawning sites, and males seemed to take a longer time for water absorption activities, to absorb minerals needed to form the spermatophore. The average travel distance of butterflies was 27.5 m for females and 46.7 m for males, with daily activity ranges from 11.2 m to 43.8 m, and 21.4 to 57.6 m, respectively.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preserve the habitat of Leptalina unicolor is to maintain the community of Miscanthus sinensis, a food plant. Additionally, because this butterfly has a high rate of water absorption activities, wetlands should be maintained.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