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

        141.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미(고아미)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부산물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cellulase처리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고아미 부산물의 가용성 고형분 및 총당은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총식이섬유소는 약 0.67%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가수분해 온도 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말토올리고당은 가수분해하였을 때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maltotetraose와 maltopentao
        142.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미(고아미)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부산물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처리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고아미 부산물의 가용성 고형분, 총식이섬유소 및 총당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환원당은 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수분해 온도 이상에서는 유리아미노산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올리고당은 에서 가수분해 하였을 때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농도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은 효소제 농도가 높을수록 함량
        143.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미 4종의 알코올 발효액 및 부산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열처리 알코올발효 구간에서 알코올함량은 대안벼(A), 백진주(B) 및 설갱(C)이 각각 9.5, 9.7 및 9.8%로 높게 나타났으며 고아미(D)가 3.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비열처리구간의 유리당 총 함량은 고아미가 244.2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열처리 알코올 발효구간이 전반적으로 당 함량이 높았으며 현미 품종간 차이는 약간 있었다. 비열 및 열처
        146.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lot of sludges occur during an activated sludge treatment process of the washing wastewater and by-product waste in the cuttlefish processing manufacture. The sludges give also out a bad smell, and their amicable reclamation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limited area of the filling-up. To reduce the heavy weight and large volume of the sludges, they was burning up. After the burning up at 350℃ for 2hrs the weight(volume) of the sludges were reduced to 5% level of the initial value. In contents of the bad heavy metals for human after the burning up, cadmium and lead metal were slightly detected, while mercury and the bad others not detected.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