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adays we live in a global village. Thanks to the highly developed transportation and new media technology we can become neighbors with anybody in the world, communicate and satisfy our needs.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individuals, groups, countries, and with nature have become worse. Even at this very moment, there are wars and conflicts between different philosophies resulting in confrontations and hostilities toward each other. People neglect diversity and seek only profit and indulgence. People undertake reckless developments and destroy nature. Some people even commit suicides, easily fall for drugs and give up on their lives. Human dignity and values have lost their true meaning. To a certain extent, it is true that people are trying to retrieve humanity through rationality and justice. Various peace themed global events, cultural interactions, and efforts to protect our planet are some examples.
Unfortunately these approaches are rooted from western utilitarianism and rationalism which are based on the premise of human’s sensible rationality. Limitations occur since decisions are made only based on the interest of majority and economy. In the name of sensibility we suppress others and for the common good we destroy our valuable nature.
Therefore now is the time that peaceful coexistence needs to be pursued than any other time in the past. How can we solve this dilemma this human race is facing and make a truly peaceful coexisting world? I believe that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Zhuangzi’s, an ancient Eastern philosopher’s, “dao-way” and by learning and practicing the notion of “In-shi”, we can achieve this kind of world.
In fact, this idea is more common and spread out than we realize. Compared to the passive learning the kids had to go through in the past, these days more and more parents tend to consider their children’s nature and interests and let them have more freedom. Companies and governments tend to generate strategies that are more fit to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their environment. This phenomena can be viewed pursuing the notion of “In-shi” in which all creation should be in their natural state of being, pertaining their natural characteristics and logic, without any “fixed/artificial” principles. In short, by preserving the natural state and retrieving the “In-shi", we can return to the unadulterated state of being since the beginning. This will be the truly meaningful way of realizing the value of reading “Zhaungzi” and acquiring its core principles. Key Words
본고는 16세기 초 경상좌도의 퇴계학파와 더불어 성리학의 양대 산맥으로 경 상우도 남명학파의 宗匠이 된 南冥 曺植의 문학과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고에서 그의 문학에 나타난 敬·義 사상을 바탕으로 한 實踐躬行과 그의 교육에 나타난 因人施敎의 下學上達의 교육관 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남명이 퇴계에게 보낸 書信에서 '입으로만 天理를 담론하는' 16세기 당시 성 리학의 한 특징이라고 할 이론적 측면만을 중시한 사실에 비판을 가하면서 形 而上學의 이론적 논쟁에 앞서 形而下學의 실천적인 덕목이 필요함을 주장하였 다. 남명의 제자 김우옹도 스승에 대한 회고에서 '몸소 실천하는 공부는 매우 돈 독하다'고 하였다. 「言行總錄」·「戊辰封事」 등에서도 敬·義 사상으로서의 실천궁 행을 강조하였다. 그의 <浴川>에서는 敬의 마음으로 義가 내포된 活敬의 의미 를 드러내었으며, <經傳>에서는 맹목적인 학문이 아니라 현실 생활에서 직접적 으로 필요로 하는 실용성의 학문을 할 것을 당부하였다. 이처럼 남명의 실천력 강조는 조선 후기 실학사상의 기점이 될 수 있었다. 남명의 因人施敎 교육은 배우는 사람의 지적 수준에 따라 가르침을 베푸는 것 이다. 사람을 가르칠 때에는 학습자의 연령대와 능력 자질에 맞추어 교육하여 그 피교육자의 능력, 자질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다. 학문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제자에게는 그에 맞는 교육 방법을 택하였으며, 성품이 성급 한 제자에게는 천천히 행할 것을 당부하는 뜻으로 걸음이 느린 황소를 타고 가 게 하였다. 이 같은 교육 방법은 공자가 제자들에게 행한 因人施敎의 교육 방법 이었다. 이 같은 유학자의 교육 방법은 ‘老莊爲崇’의 주장을 불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 「墓碣銘」·學記類編 등에서도 下學으로써 사람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 다. 經世致用的 학풍을 지닌 정구는 남명의 제자인 오건의 제자이고, 후기 실학 파와 직접 접목된 허목은 정구의 제자이기도 하다. 정구·허목 등의 經世致用的 학풍과 考證學的 경전 해석은 실학의 泰斗인 이익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처럼 남명의 인인시교의 교육 방법과 下學을 통하여 上達해 나가는 實踐躬行的 교육 사상은 조선 후기에 꽃을 피운 實學思想의 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