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cademia, the parts outside the definitions in phonetic-semantic reference books are ambiguously termed, referred to as “revealed characters”, “word entries”, “lexical entries”, or “character entries”. Based on the meticulously revised Japanese manuscript of “Xuan Ying’s Phonetic-Semantic Explanations”, this paper conduct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origins of these part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explanations, and their functions. It is discovered that this content not only originates from the scriptures but also from related prefaces or accompanying annotations. Their primary function is to “locate” and “identify the explained words”. Hence, they are termed as “label entries”. The function of the labels in “Xuan Ying’s Phonetic-Semantic Explanations” is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interpreted terms in the scripture, and they do not form a relationship of interpretation and being interpreted with the exegesis as a whole.
본 논문은 『玄應音義』를 중심으로 『新撰字鏡』의 문헌 인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字鏡』의 『玄應音義』 인용 양상을 보면, 표제자의 선정, 표제자 표음, 자의 및 예증, 이체자 정보 등 내용 구성면에서 폭넓게 『玄應音義』를 활용하고 있는데, 때로는 『玄 應音義』만으로, 때로는 『玉篇』이나 『切韻』 등 다른 문헌의 정보를 활용해 『玄應音義』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여 사서로서의 가치와 효용성을 높였다. 그러나 인용 출처를 밝히지 않아 문헌 인용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점이나, 체제가 엄정하지 못하고 오류가 많다는 것은 이 책이 가진 한계이다. 따라서 광범위하고 정확한 문헌 인용 관계 연구와 석문의 교감을 통해 이 책이 가진 한자학·문헌학 가치를 재조명해야 할 필요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