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more than 40 years since Yunmeng Qin bamboo slips were unearthed. As the first batch of Qin bamboo slips unearthed, it is close to the truth of the Qing dynasty. Because the unearthed bamboo slips are clear and easily to recognize, most of them are complete, which provides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in-depth study of Yunmeng Qin bamboo slips. To start with,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pecial words used in the development period of modal particles, to clarify the development context of the evolution of modal particles, and to sort out the internal differences of the evolution of modal particles in Yunmeng Qin bamboo slips. We give a possibility for Yi (殹) and Ye (也), which seems to alternate between Yunmeng Qin bamboo slips. Secondly, we found the factors to these change: dialect, country, written forms and customs. Also, we set many examples to prove Yi (殹) and Ye (也) in Yunmeng Qin bamboo slips truly alternative. The time of Yunmeng Qin bamboo slips was written at about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early Qin Dynasty, which was the time when the words were not solidified. In this period, the use of words was chaotic, and modal particles showed different use of words because of their distinctiv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is, the diversification of writing forms. Especially, Yi (殹) and Ye (也) were two modal particles in Yunmeng Qin bamboo slips. As a Qin character, commonly seen in Yunmeng Qin bamboo slips, Yi (殹) is often used as a modal particle in the slips of Qing dynasty, which has been discussed by senior scholars such as Li Xueqin and Chen Zhaorong. Mr. Li talked about Yi (殹) and “habitually seen in Qin Bamboo Slips” in his article “an Investigation of Ancient Philology of Qin Bamboo Slips”; When discussing the evolution of Qin characters, Mr Chen interpreted Yi (殹) as a mood auxiliary word with both regional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5,500원
        2.
        201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어』는 유가 경전 문헌 중 하나이며, 현재의 『논어』는 전래되어 온 것과 출토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문은 평양 정백동 364호 고분에서 출토된 거의 완전한 형태인 39조각의 『논어』를 연구 범위로 하여, 출토된 『논어』와 전래된 『논어』의 경문 상의 차이 현상을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글자가 쓰여진 현상은 동원통용자나 동음차용자, 쓰기 중에 일어난 와자(訛字), 이체자,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는 동의사와 자구의 증감 등 여러 현상을 포함하고 있다. 『정주한묘죽간(定州漢墓竹簡) 논어』와 서로 다른 글자를 비교 한 이후에 이 두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논어』의 수록 자형 상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평양 정백동에서 출토된 죽간 『논어』와 정주 한묘 출토 죽간 『논어』는 시대적으로 비교적 가까우나, 그 글자 상에 있어 완전히 일치하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어, 아마도 서로 다른 경로로 전래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문은 출토와 전래된 『논어』에서 서로 다른 글자가 발생하게 되는 여러 원인을 분석하였다. 현재, 동아시아 고등교육 교재 중, 예를 들어 한국의 한문교과서서에서도 『논어』는 중요한 교육 내용이기에 『논어』에 대한 언어문자적 연구는 세계 한자한문교육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 한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