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의 공학기술은 인류의 삶과 미래, 사회 및 자연 환경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 공학윤리 문제는 더욱 더 두드러지고 있으며, 과 학과 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으로 인해 공학윤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 학윤리교육은 공학도들이 공학에 관련된 사회적, 윤리적 문제들을 인지하고 이해하 며, 미래 자신들의 공학 실무의 사회적 책임과 공학전문 직종의 윤리적 문제들을 명 확히 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 연구자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엔지니어들을 배출하고 있는 중국의 공학윤리에 대한 접근 방식 을 검토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여러 선진 국가들의 글로벌 공학윤리교육의 동향을 살펴본 다음, 중국의 공학윤리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그 내용을 분석하고, 전통과 현 대의 조화,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 및 정치 과정과 공학윤리 과정의 통합이 중국 공학윤리교육의 주요한 특징임을 드러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차이와 다양성은 존중되어야 하지만, 중국의 공학윤리교육이 글로벌 공학윤리교육의 표준에 부합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5,400원
        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의견에 대한 가치체계의 근간을 스노우(C. P. Snow)의 ‘두 문화’ 문제 - 과학문화와 인문문화 - 개념을 모티브로,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 전통우생학과 자유주의우생학 등 가치선택의 다양한 갈래가 공존하고 있음을 논하는데 있다. 또한, 과학과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잘못된 신화’- 과학의 객관성에 대한 신화, 과학과 과학자의 독립성과 자율성, 생명공학 기술의 세계기아 해결 - 를 지적함으로써 과학기술에 대한 적확한 판단을 모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생명공학 기술의 생산주체인 생명공학자에게 연구윤리와 사회적 책임은 물론 개방성,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 성찰과 품성의 윤리학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