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면역저하 환자용 신선편의 채소류의 위생화를 위해 당근, 오이고추, 방울토마토, 파프리카를 모델식품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흡수선량으로 엑스선 조사처리한 후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평가를 수행하였다. 당근과 오이고추의 경우 0.4 kGy, 방울토마토와 파프리카의 경우 0.2 kGy 이상의 흡수선량으로 엑스선 조사처리 시멸균이 확인되었으며, 총 호기성세균 및 대장균군을 제외한 병원균들은 1 log 수준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모델식품에 접종된 E. coli. L. monocytogenes, S. Typhimyrium에 대한 엑스선의 D10값은 0.11-0.32 kGy로 나타나, 0.4 kGy의 흡수선량을 신선편의 채소류의 멸균을 위한 잠정적인 최소 흡수선량으로 설정하였다. 최대 0.6 kGy의 흡수선량으로 엑스선 조사처리된 신선편의 채소류에 대한 전체 선호도의 경우 7점 척도에서 모두 5.0 점 이상으로 나타나 이들의 관능적 품질이 수용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엑스선 멸균처리(0.4 kGy)된 신선편의 채소류에 대한 선호도 설문조사에서 오이고추와 방울토마토, 파프리카의 경우 모든 항목에 대한 평균 선호도 점수는 5점 척도에서 모두 4.0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엑스선으로 멸균처리된 오이고추, 방울토마토, 파프리카는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들을 위한 위생학적으로 안전한 신선편의 채소로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veloped rice Jochung (E) with those of commercial-rice Jochung (A, B, C, and D). The total soluble solid, reducing sugar, and dextrose equivalent of developed rice Jochung were 80 °Brix, 44.53%, and 56.94%, respectively. The pH and titrable acidity were 6.25 and 0.19%, respectively. The color difference value (ΔE) of developed rice Jochung was 74.42,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samples investigat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developed rice Jochung were 56.4%T and 108.23 mg GAE/100 g, respectively. The adhesiveness values of various commercial-rice Jochung products were 29.0~66.0 sec, while that of developed-rice Jochung was 61 sec, showing good textural properties for use in manufacturing Hangwa, a Korean traditional cookie. The electron-donating values of various rice Jochung were 20.4~50.3%, among which the developed-rice Jochung showed the highest value. The reducing powers of various rice Jochung products were 0.44~0.72, while that of the developed product was 0.72,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values.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color scores of developed- and commercial-rice Jochung products were 6.70~6.80. Flavor scores of rice Jochung products ranged from 6.00 to 7.00. Taste and mouth feeling scores of developed-rice Jochung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of commercial Jochung products. Compared to commercial-rice Jochung products, developed-rice Jochung made with malt extract exhibited high polyphenols conte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between commercial-rice Jochung products and the developed product. The developed-rice Jochung analyz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s a traditional sweetener for various Hangwa products as a substitute for corn syrup or Jochung.
        4.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명란젓갈을 0.5, 1, 2 및 5 kGy로 전자선 조사 후 2주간 냉장 저장하면서 전자선 조사가 명란젓갈의 미생물학적 변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전자선 조사(약 2 kGy)에 의해 명란젓갈에 존재하는 총 호기성 세균, 효모와 곰팡이 그리고 대장균군의 수가 유의적으로 검출한계() 이하까지 감소함이 확인되었고, 전자선 조사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전자선 조사구에서 pH가 유의적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관능적 품질에서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