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1.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65세 이상의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 노인(실험군: 67.2±5.4세; 13명)과 건강한 일반 노인여성(통제군: 66.73±9.7세; 15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요가 운동 전.후의 평형성(동적평형성 및 정 적평형성)의 변화를 알아보고 골관절염 노인여성의 요가 운동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연구에서 측정된 동적평형성 및 정적평형성은 시각정보(개안, 폐안)의 유무에 따른 2번의 측정이 진행 되었다. 동적평형성 측정은 Spacebalance 3D, (Korea)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정적평형성 측정 은 주로 사용하는 발의 눈감고 외발서기로 측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12주간 요가 운동에 따른 동적평형성(폐안)은 골관절염 실험군(p(.05)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동적평형성(개안) 측정에 따른 변화는 실험군(p(.001) 및 통제군(p(.05)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 결과가 나타났다. 정적평형성 결과 두 집단(실험군, 통제군) 모두 시기 별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12주간의 요가 수련은 골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 노인의 평형성을 증가시키는 유익한 운동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을 통해 신체 기능과 관절염 통증 정도의 개선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퇴행성관절염으로 진단받은 노인여성 16명(나이: 73.00±3.70year, 신장: 154.30±4.07cm)을 대상으로 무선배정 된 노르딕 워킹 운동그룹(n=9)과 통제그룹(n=7)으로 나누었다. 운동 그룹은 노르딕 스틱을 이용하여 12주간 주 3회, 1회 30분 노르딕 워킹 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 강도는 HRR의 40-60%로 설정하였다. 통제그룹은 동일한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 근골격량)과 근력과 유연성(상·하지 근력, 상·하지 유연성), 균형능력(정적균 형, 동적균형) 및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의 측정은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2번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 version 25.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계집단간의 생리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노르딕 워킹 운동그룹과 통제그룹의 그룹 간, 시기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x2 반복측정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을 통해 신체조성 기능에서 체지방률은 운동 처치 후에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04), 집단 간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3). 골격근량은 운동처치 후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18), 집단 간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05). 둘째, 근력과 유연성은 상지근력과 하지유연성에서 집단 간과 시기 간 상호작용에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p=.009)(p=036), 하지근력에서는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간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p=.006). 또한, 상지유연성은 운동처치 후에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p=.020). 셋째, 균형능력 요인은 정적균형에서 운동처치 후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16), 동적균형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넷째, 통증정도는 운동처치 후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p=.022),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개선 효과도 나타났다(p=.013). 결론적으로 12주간의 노르딕 워킹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의 신체조성과 근력과 유연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르딕 워킹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가진 노인여성 에게 신체조성과 안정성, 균형성을 높여 주였으며, 무릎 관절의 통증을 낮춰주어 재활 운동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이라고 사료된다.
        4,800원
        3.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of osteoarthritis in the elderly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KNHANES VI). A total of 2,148 (936 males, 1212 females)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was higher in 460 female (80.7%) and 167 rural (29.1%) groups, than in 110 male (19.3%) and 404 urban (70.9%) groups. While the mean values of LDL-cholesterol, triglyceride level,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teoarthritis group than the normal group, other parameters including height, HDL-cholesterol, fasting blood glucose,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s were not. Quality of life (EQ-5D)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osteoarthritis group.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moking, alcohol intake,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and energy intak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gards to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This study suggests that obesity and energy intakes were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whereas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Hypo-high density lipoprotein, hypertriglyceridemia, anemia, diabetes, vigorous physical activity,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walking were not. Long-term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osteoarthritis.
        4,300원
        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 여 노인 관절염환자에 대한 방문재활치료모델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2009년 8월 현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3개의 노인복지관과 1개의 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된 재가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배부하여 11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79부 (72%)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방문재활서비스 요구도(10문항)와 관절염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WOMAC(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Osteoarthritis)검사와 수정 바텔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로 구성하였다. 한국형 WOMAC과 수정바텔지수(MBI), 시각적통증검사(Visual Analogue Scale: VAS)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한국형 WOMAC의 기능 수준에 따른 일반적 사 항, 의학적 사항, 방문재활서비스 인식도, 방문재활서비스의 필요성과 이유, 방문재활서비스의 구체적 욕구에 대하 여 교차분석(3XR)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 79명의 진단명은 퇴행성관절염 환자가 61명(79.2%)이었으며, 통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슬 관절로 나타났다.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지만 응답자의 93.7%(74명)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기능별로는 1등급에서는 15명(19.0%), 2등급에서는 44명(55.7%), 3등급에서는 15명(19.0%)이 방문재활서비 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재가 노인 관절염 환자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갖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재가 관절염 노인들을 위한 실증적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야 할 것이다.
        4,500원
        5.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주요 목적이자 치료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들이 그 활동 중의 하나인 성적 욕구의 표현(sexual expression)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이 미진하다는 지적을 극복 하고자 본 연구가 계획되었다. 특히 만성 장애가 있는 65세 이상 연령층의 성생활에 대해 기술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은 상당한 임상적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관절염이 65세 이상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