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construction system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which were newly revised by changes in the renewed 7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purpose, this study c
본 연구는 미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3종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과정 수시부분개정체제에 따 른 한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개발 방향과 내용구성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 초등 사회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첫째, 사회교과 서는 많은 자료를 좁은 지면에 압축하여 제시하는 형태에서 적합한 자료를 선정 조직하여 실 제 학습에 적극 활용되도록 변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교과서는 단원과 주제의 성격에 따 라 다양한 형태의 내용구성방식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교과서는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외형체제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교과서는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한 소재나 이야기를 다각도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회교과서는 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연계하는 내러티브적 구성방식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사회교과서는 단원의 목표를 지향하는 질문방식을 체계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사회교과서 내용구성 체제를 위하여 사회 교과용 도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을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서 개발된 용해, 빛, 전기 단원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이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학생 204명과 중학생 155명이었다. 이들 중에서 초등학생 8명과 중학생 4명, 초등교사 5명과 중학교 과학교사 3명을 선발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실험을 통한 현상의 관찰을 강조한 반면, 중학교에서는 공식이나 그래프 등을 도입한 계산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하는 개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들은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용해, 빛, 전기 단원에 관련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배움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학생들의 성취도가 초등학생들의 성취도보다 높지 않았다. 그리고 중학생들은 과학 내용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반복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선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내용의 심화 확장이 부족하며, 특히 내용 제시 방법이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에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과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하고 교사들은 이를 가르치기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과학교육과정 안에서 과학 개념을 적절히 연계하기 위한 연구와 7차 과학교육과정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초등학교의 정보 교과서는 시⋅도별로 학습 내용과 구성 체계가 일관적이지 않고 학습자의 발달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 교과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교과서 내용 구성의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에 따라 내용 구성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내용을 분석하여 개념학습형, 문제해결형, 활용형, 정보윤리형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고,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반영한 각 유형별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별 유형과 각 유형별 내용 구성 방안은 향후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정보 교과서 개발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 교육환경에서 요구되어지는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속성을 반영하는 콘텐츠 유형을 도출하고, 통합적 조직을 통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상황맥락형, 에듀테인먼트형, 스토리활용형, 자원기반 프로젝트수행형의 총 4종의 영어과 콘텐츠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다시 학습자의 학습 경험 속성이나 활용 과제 및 자료의 속성, 구현 테크놀로지 속성 등에 의해, 의사소통상황맥락형은 제시형, 체험형, 구성형으로, 에듀테인먼트형은 퀴즈형, 게임형, 다중지능활용 과제수행형으로, 그리고 스토리활용형은 문학작품활용형과 에피소드활용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개념과 세부 형태를 기술하고 개략적으로나마 교수․학습 절차와 단계별 설계 전략을 규명하였으며, 그 적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 유형에 대한 아이디어를 시사하였다. 또한, 도출된 콘텐츠 유형의 통합적 적용을 통해 단원 중심의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구안하고 그 구성 요소별 설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콘텐츠 유형들은 맹목적이고 배타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교수․학습 과정상에서 필요한 맥락에 맞게 각 유형들의 핵심적 아이디어들이 통합적으로 고려되는 설계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