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flective proces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y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entered in their teaching journals during a four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Thirty-three student teachers were asked to report critical incidents in their journals once a week, especially focusing on „lesson breakdowns‟ or „events that deserve critical significance‟ during a lesson. 133 journal entri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04 critical incidents were analyzed to see some aspect of secondary classroom teaching and the reflective processes that student teachers went through right after the incidents. From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ny critical incidents happen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lesson and were mostly caused by student teachers‟ lack of experiences in either time management or material preparation tailored to students‟ level. By describing and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student teachers became more aware of their assumptions about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ed to transfer knowledge into real practices. A survey administered after the practicum also revealed that self-observation of critical incidents in their own classroom helped them to generate powerful insights about teaching and to develop reflective teachers.
        7,000원
        2.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여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념도와 성찰일지 학습전략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전략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미래의 학생들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175명의 예비여교사들을 개념도 전략 집단, 성찰일지 전략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을 다시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한 후 시험을 통해 학습 성과를 측정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개념도는 학습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성찰일지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양식별 학습전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렴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 모두 학습 성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 전략은 학습 성과에 효과적이나, 성찰일지 전략은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2011.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화일지 쓰기는 학습자와 교사 간에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이다. 대화일지를 통해 학습자는 부담감 없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교사는 학습자의 글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화일지 쓰기를 통해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일지가 학습자의 쓰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 불안감, 부담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중급과정에서 한국어를 배운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대화일지 쓰기를 통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불안감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쓰기 능력에서는 대화일지를 통한 형태 중심․의미 중심의 피드백이 기존의 직접적인 피드백보다 담화 구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